2025년 4월 7일 (월)
직장가입자, 보험료 80%만 돌려받아…“부과체계 검토해야”

직장가입자, 보험료 80%만 돌려받아…“부과체계 검토해야”

기사승인 2024-09-29 14:45:12
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park@kukinews.com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상당수가 낸 보험료보다 적은 급여 혜택을 돌려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선민 의원(조국혁신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가입자격 및 소득분위별 보험료 부과 대비 급여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직장가입자가 받은 급여액 총액은 건강보험료 총액의 3/4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직장가입자는 69조225억원을 보험료로 납부했다. 하지만 병의원이나 약국을 이용하며 받은 급여는 51조 7000억원(74.7%)에 그쳤다. 반면 자영업자 등 지역가입자는 9조9317억원의 보험료를 내고 27조6548억원(278.4%)의 급여를 받았다.

자료를 보면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사이 보험료 대비 급여비 차이는 지난 2020년부터 증가해 왔다. 직장가입자는 보험료 대비 급여비가 △2020년 81.2% △2021년 80.5% △2022년 80%에 그쳤다. 지역가입자는 △2020년 212.5% △2021년 215.5% △2022년 241.1%로 꾸준히 낸 보험료 2배 이상의 급여를 받았다.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는 소득 구조가 달라 소득 파악률에 차이가 있다. 직장가입자는 월급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부과받지만, 지역가입자는 소득에 더해 자동차 등 재산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부과받는 이유다.

하지만 지역가입자의 보험료 부담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는 지난 2022년까지 두 차례 재산에 부과하는 보험료를 인하한 바 있다.

김 의원은 “지역가입자의 재산보험료를 낮춰주는 부과체계 개편 등을 통해 지역가입자에 비해 직장가입자의 부담 차이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가입자 간 공평한 보험료 부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박동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강하늘·유해진·박해준 다 모였다…정치물 아닌 액션물 ‘야당’

제목만 보고 소재를 오해하기 쉽지만, 라인업만큼은 화려한 범죄액션물 ‘야당’이 베일을 벗었다. 7일 서울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야당’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배우 강하늘, 유해진, 박해준, 류경수, 채원빈, 황병국 감독이 참석했다. ‘야당’은 대한민국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 ‘야당’,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검사’,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형사’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