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0일 (목)
김병환 “청년도약계좌, 인센티브 등 보강할 것” [2024 국감]

김병환 “청년도약계좌, 인센티브 등 보강할 것” [2024 국감]

기사승인 2024-10-24 15:36:36 업데이트 2024-10-24 16:04:07
금융위원회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청년도약계좌와 관련해 인센티브 등을 더 보강하는 등 필요성에 공감했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감사에서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위원장을 향해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정부 핵심과제다. 금융위 소관의 유일한 청년 맞춤 정책이다. 2023년도 7월부터 시행이 됐다”면서 “이전에는 청년희망적금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청년희망적금제도를 시행할 때에도 3가지 정도 문제가 있었다. 먼저 중도해지자가 너무 많다는 것이고, 그 다음에 저소득 특히 10만원 미만으로 저축하는 청년들의 해지율이 더 높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는 그 숫자와 신규 가입자가 지금 목표세에 미달했다 이런 지적이 있었다”면서 “그런데 문제가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청년도약계좌제도를 다시 시행했다. 확인해 보니까 같은 문제들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예산 활용에 대한 문제인데 2023년도 보면 예산 3600억에 3000억이 이월된다. 그리고 2024년도에도 3700억이 예산인데 이월액 2900억 정도 예상이 된다. 이월액이 너무 많다”면서 “제도개선을 안 하고 또 예산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청년도약계좌 도입한 취지가 더 많은 청년이 자산을 꾸준히 형성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 아니겠나. 그런데 실제로는 예산 대비해서 사용은 저조하고 이렇게 많이 이월되고 있는 이 점에 대해서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김 의원은 또 “금융위에서는 실적이나 가입자 수 관리를 안한다고 답변했다”고도 꼬집었다.

김 위원장은 “한가지 말씀드리면 유지율은 85%대로 청년희망적금 당시보다는 유지율이 좀 높은 수준”이라면서 “예산 부분은 아마 처음에 예산을 편성할 때 목표가입자 수를 굉장히 의욕적으로 추정을 했던 부분이 영향이 있는 것 같다. 지속적으로 현실화를 해 나가면서 동시에 위원님 말씀 주신 대로 더 많이 인센티브 등을 보강해나가겠다”고 답했다.
정진용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슬의생’과 달라”…전공의 파업 속 ‘언슬전’ 공개, 시청자 처분만 남았다

의료대란 여파로 1년여 표류한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 마침내 시청자를 만난다. 슬기로운 ‘99즈’의 일상 대신 슬기로울 ‘응애즈’의 성장이 감동을 선사할 전망이다. ‘보호자’를 자처한 신원호 크리에이터의 바람대로, 이들의 진심이 곡해되지 않고 안방에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을까.10일 서울 신도림동 라마다호텔에서 tvN 새 토일드라마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하 ‘언슬전’, 연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