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고율 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기차 부품으로 관세 부과가 확대될 경우 한국 전기차 생산 단가가 상승해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연합(EU), 캐나다에 이어 일본, 브라질, 멕시코 등 신흥국들까지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고 있다. 통상 고율 관세 부과는 자국 전기차 산업 보호와 중국의 보조금 정책 대응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한국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한국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중국과의 경제적 관계, 자동차 부품 공급망의 상호의존성 등으로 자국 전기차 산업의 기술력과 품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국은 미국과 유럽, 신흥 시장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을 주력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아시아 시장으로 꼽히는 한국은 주요 대체 시장이다.
중국의 주요 전기차 업체들은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화한 바 있다. 비야디(BYD)는 오는 2025년 1월 한국 진출을 발표했고, 지커(Zeekr)도 2025년 말 한국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고율의 특별 관세를 부과하지 않으면서 경쟁력을 키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유럽이 중국 전기차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이 중국 전기차 업체들에게 대체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으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미국과 같은 정부 차원의 관세 인상 등의 조치가 한국에서는 쉽지 않은 상황인 것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율 관세 부과가 오히려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할 수 있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이 미국, 유럽 등에서 밀려나 다른 시장에 집중할 경우 그 시장에서 한국과의 경쟁은 치열해질 수 있다. 현재 관세가 전기차 부품으로 확대되면 한국의 전기차 생산 비용이 증가해 수출 경쟁력이 약화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국내 완성차 업계는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에 대비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