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5일 (토)
조규홍 장관 “포고령에 ‘전공의 처단’ 왜 들어갔는지 몰라…조치 못해”

조규홍 장관 “포고령에 ‘전공의 처단’ 왜 들어갔는지 몰라…조치 못해”

“국무회의서 계엄 사전 인지 못해…선포 1시간 뒤 인지”
“대통령에 포고령 잘못됐다고 얘기 못해”

기사승인 2024-12-11 18:37:30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1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진행된 ‘비상계엄 선포 내란행위와 관련한 긴급현안 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미복귀 전공의 처단’ 내용이 담긴 포고령을 사전 국무회의가 끝난 후 밤 11시28분쯤 인지했다고 밝혔다. 계엄포고령이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했지만 계엄사령관에게 연락할 방법이 없어 후속 조치를 못했다고도 했다.

조 장관은 11일 국회 본회의 ‘비상계엄 선포 내란행위와 관련한 긴급현안 질문’에 출석해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의원의 ‘미복귀 전공의 처단이 명시된 계엄사령부 포고령을 언제 인지했냐’는 질문에 조 장관은 “(계엄) 사전회의를 끝내고 서울사무소로 돌아와서 1급(간부) 회의를 소집한 이후에 내부 문자 보고를 통해서 알았다. 11시28~29분 정도에 알았다”고 말했다. 이 시간은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지 1시간가량 지난 시점이다.

김 의원이 ‘어떻게 조치했냐’고 묻자 조 장관은 “우선 이것(미복귀 전공의 처단 문구)이 왜 들어갔는지 우리 1급들 하고 이야기했는데,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었다”라며 “현재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의료계에) 나쁜 효과가 있을 것 같아 그것을 어떻게 조치할 건가를 서로 얘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에게 포고령이 잘못됐다고 이야기하지 못했다. 포고령 발신자가 계엄사령관이었는데 연락할 방법이 없었다”면서 “회의 중에는 포고령과 관련해 전혀 인지를 못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11시20분에 인지를 했으면 이후에 후속 조치를 해야 했다’고 지적하자 조 장관은 “비상진료체계를 어떻게 유지할지 정도만 생각했고 그 포고령 자체를 어떻게 해야 할 건지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고 재차 해명했다.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미국인 2명 중 1명 “트럼프 관세정책 반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막대한 관세를 메기는 가운데 자국 여론도 엇갈리고 있다. 5일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엿새간 미국 유권자 10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54%가 트럼프 관세정책에 반대했다. 지난 1월에는 관세정책을 ‘지지(48%)한다’는 응답이 반대(46%)를 앞섰지만 이번엔 지지 응답률이 42%로 감소했다. 응답자 4분의 3은 관세 정책으로 물가 상승을 우려했다. ‘트럼프 경제정책에 반대(52%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