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3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쟁의 심판 선고를 연기하면서, 민주당은 일단 탄핵 추진을 보류한 채 상황을 주시하는 모습이다. 다만 선고 전까지 최 대행을 향한 압박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는 당초 이날 선고하기로 했던 마은혁 헌법재판관 미임명 관련 위헌 여부 심판을 오는 10일로 연기했다. 이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최 대행을 상대로 낸 권한쟁의 심판 사건에서, 최 대행이 변론 재개를 요청한 데 따른 결정으로 풀이된다.
최 대행은 지난해 12월 31일 국회 선출 몫 헌법재판관 3명 중 조한창, 정계선 후보자만 임명하고, 마 후보자에 대해서는 여야 합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임명을 보류했다. 이에 우 의장은 지난달 3일 최 대행의 임명 보류가 위헌이라며 권한쟁의 심판을 청구한 상태다.
이번 선고의 핵심은 대통령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을 임명할 법적 의무가 있는지 여부다. 헌재가 최 대행의 행위를 위헌으로 판단할 경우, 그는 마 후보자를 임명해야 하며 헌재는 9인 체제를 갖추게 된다. 정치권에서는 이 결정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의 향방을 가를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헌재의 선고 연기에 따라 민주당은 이날 예정됐던 최 대행 탄핵 건과 관련한 논의를 보류했다. 당 차원의 공식 입장은 내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는 최 대행에 대한 공세를 한층 강화하는 분위기다.
이날 박찬대 원내대표는 미르재단 공소시효 문제까지 언급하며 최 대행을 강하게 압박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최 대행이 마 후보자를 즉시 임명하지 않는다면, 이는 내란 공범이라는 확증이 될 것”이라며 “또다시 책임을 회피한다면 비상한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최 권한대행이 과거 박근혜 국정농단 당시 직권남용 및 권리행사 방해 혐의를 받은 것을 잊지 않고 있다. 이 사안에 대한 공소시효는 여전히 남아있다”며 “윤석열과의 유착 의혹이 있는 뇌물 혐의에 대한 법적 조치도 검토하겠다”라고 했다.
민주당은 최 대행이 끝내 마 후보자 임명을 거부할 경우, 이를 새로운 정치 국면으로 전환해 공세를 지속할 방침이다. 민주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헌재의 결정은 법적으로 정부 기관이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며 “이를 따르지 않는다면 헌법을 부정하는 것이며, 나아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론도 거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헌재 9인 체제, 헌법 부합”...여야 공방 속 마은혁 미임명 3일 위헌 결론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보류에 대한 헌재의 권한쟁의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2일, 여야의 날선 대립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