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133.800x.9.jpg)
산림청이 청정 산림에서 생산한 임산물 소비 확산에 팔을 걷어붙였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11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먹거리 임산물 소비 활성화대책’을 발표했다.
먹거리 임산물은 산림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임산물 중 식용이 가능하거나 식품으로 가공할 수 있는 식물·버섯류 및 그 부산물이다.
임산물은 풍부한 영양소와 약리적·기능적 성분을 함유한 건강식품으로, 탄소 배출이 적고 화학비료나 농약 사용이 많지 않아 토양오염 저감에도 기여한다.
그러나 농·축·수산물에 비해 기호식품이라는 인식이 강해 소비량은 저조하다.
이에 산림청은 국가공동상표 ‘숲푸드’를 개발해 임산물 소비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임업인 소득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소멸 대응에 기여할 방침이다.
![](/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136.800x.0.jpg)
이번 대책은 국내 임산물의 소비 기반을 확대하고, 생산·유통·품질관리 전반을 장기·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4대 전략, 13개 추진과제를 포함한다.
산림청은 임산물 소비촉진을 위해 대국민 홍보 및 판로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숲푸드 대축제’, ‘숲푸드 위크’ 등 소비촉진 캠페인을 적극 전개하고, 임산물을 활용한 지역 특산품 개발 및 지역축제와 연계한 판매 확대를 추진한다.
아울러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다각화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임산물의 기능성과 약리성을 제품이나 광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표기 기준을 마련해 홍보효과와 제품 신뢰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임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생산자를 조직화‧규모화 하고, 품목별 자조금조직을 지원해 생산자의 협력을 증진하는 한편, 스마트임업 기술 및 기계장비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한다.
또 시설재배 보조금 지원 대상을 확대해 생산 기반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산물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
산림약용소재를 적극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제약·건강기능식품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방침이다.
특히 산양삼, 초피 등 해외 시장경쟁력이 높은 유망 임산물을 중심으로 상품을 개발하고 판로를 개척해 우리 임산물의 해외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우리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숲푸드’ 등록 임산물의 잔류농약 검사, 식품안전관리기준(HACCP),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등 농식품 인증을 철저히 관리할 계획이다.
또 임산물 명예감시원제도를 도입해 불법 채취 및 부정유통을 단속하고, 소비자 합동토론회 및 품평회를 개최해 소비자 의견을 반영한 품질관리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이밖에 올해 ‘숲푸드’ 등록 300개 품목을 2030년까지 1500개 제품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135.800x.0.jpg)
임 청장은 “임산물 소비가 증가하면 산림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고, 지속 가능한 산림 보전이 실현될 수 있다”며 “국민과 임업인이 상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정책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