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210.800x.9.jpg)
경기 화성시는 급증하는 치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1일 경기남부경찰청에 경찰서 신설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
이번 건의문에는 정명근 시장을 비롯해 화성지역 송옥주·이준석·권칠승·전용기 국회의원도 함께 참여했다.
현재 화성시 내 경찰서는 서부경찰서와 동탄경찰서 두 곳으로, 인구와 면적을 고려할 때 수원시 4개(팔달경찰서 포함), 용인시 3개(수지경찰서 포함), 고양시 3개, 성남시 3개와 비교해 최소 1개 이상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지구대·파출소·치안센터 등 최일선 경찰관서도 총 20개소로, 타 도시와 최대 11개소까지 차이가 난다.
게다가 화성시 경찰관 1인당 담당 인구는 1007명, 관할 면적은 0.88㎢로, 성남시 대비 인구 2배, 면적 9배 이상, 수원시 대비 인구 0.6배, 면적 14배 이상으로 치안 공백이 심각한 수준이다.
더욱이 ‘경기도 시군별 장래인구추계(2020~2040)’에 따르면, 2040년 화성시 예상 인구는 약 122만명으로 경기도 내 1위를 기록할 전망이다. 도내 30개 시·군이 모두 자연 인구 증가율에서 마이너스를 보이는 반면, 화성시는 유일하게 0.22%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재 전국 1위 수준의 출생아 수와 맞물려, 향후 치안 서비스 수요 증가를 고려한 경찰서 신설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는 대목이다.
화성시는 관내에는 전국 1위 규모인 약 2만8000개의 제조업체가 있으며, 산업 특성상 외국인 근로자 수와 증가율 또한 전국 최고 수준이다. 그로 인해 외국인 밀집 지역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맞춤형 치안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정명근 시장은 “시민들의 안전한 생활과 행복한 일상을 위해 경찰력 확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시의 실정에 맞는 경찰서 신설이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건의하고 시법원, 소방서 등의 국가기관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