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1/kuk20250211000414.680x.0.jpg)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계(비이재명계) 인사들이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강한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민주당의 지지율이 정체되면서, 비명계는 당의 미래를 위한 리더십 변화와 내부 통합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비명계 인사들은 당의 다양성·통합·포용을 중심으로 한 리더십을 강조하며 이 대표의 리더십을 연일 지적하고 있다.
박용진 전 민주당 의원은 10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 대표를 향해 “전략적 구멍이 생겼는지 고민해야 한다”며 “지금은 친명·친문 간의 다툼을 벌일 때가 아니다. 서로의 책임을 인정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비판과 경쟁도 허용되고, 그것을 에너지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비명계 원외 모임 ‘초일회’ 간사인 양기대 전 민주당 의원은 9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당내 비명계의 비판을 '내부총질'로 몰아가는 흐름을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 내에서 비명계의 쓴소리가 나오자 이를 ‘내부총질’로 규정하며 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이는 민주당의 자강(自强)과 정권교체에 걸림돌이 될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직 한 사람에게 의존해 정권교체만 외치는 정치로는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말로만 하지 말고,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 민주당의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리더십을 발휘해주길 바란다”며 “지난 대선 과정에서 서울시당과 광주시당으로부터 지원 유세를 요청받았고, 동의했으나 대선 캠프에서 ‘필요 없다’며 배제됐다. 이번에는 달라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대표가 당내 통합을 위해 직접적인 행동을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최재성 전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은 11일 “윤 대통령이 탄핵되더라도 대선은 박빙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다”며 “당을 떠났거나 거부감을 갖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비명계의 쓴소리에 대해 “당내 다양한 의견을 존중한다”며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날 유튜브 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기업의 ‘레드팀’을 예로 들며 “당은 다양성이 생명이고, 내부의 부족한 점을 당연히 지적할 수 있다”면서 “다른 생각을 가진 분들의 역할이 무엇인지 협력하고 경쟁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종석 등 비명계가 지적한 ‘지난 대선 패배’와 관련해선 “패배의 제일 큰 책임은 후보인 저에게 있다”면서 “(책임론 제기에 대해) 불필요한 내부 공격은 자제해 줄 것을 여러 차례 주문했다”고 말했다.
친명계에선 이 대표가 통합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비명계 인사들의 비판을 ‘정략적 공세’로 규정하며 반박하고 있다.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대표는 폭넓은 인사들과 소통하며 통합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며 이 대표의 통합 노력을 강조했다.
이어 “친문의 추천으로 국회의원을 지낸 홍성국 의원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하고, 문재인 정부에서 국가안보실 차장을 지낸 김현종 전 차장을 외교안보보좌관으로 임명한 것도 통합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윤석열 대통령의 불법적인 비상계엄과 내란 시도에 반대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에서, 당내에서도 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며 “당 지도부가 당 안팎의 주요 인사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