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uk/image/2025/02/14/kuk20250214000296.670x.0.jpg)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에 맞는 전문 정비소 설립과 정비 기술 교육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국내 전기차 등록 대수 대비 전기차 정비를 전문적으로 하는 곳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15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협회(KAMA)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국내 전기차 등록 대수는 총 60만6610대다. 반면 전기차 전문 정비소는 집계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는 국내 전기차 시장의 선두 주자인 현대차·기아의 정비 시스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블루핸즈는 현대자동차의 공식 서비스 네트워크로 전국에 약 1400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기아자동차의 공식 서비스 네트워크인 오토큐는 약 800여개가 운영되고 있다. 2200여개의 공식 서비스 네트워크가 전문적인 전기차 정비를 제공한다고 가정해도 차량 보급 대수 대비 현저히 낮은 수치다.
이에 현대차 관계자는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전기차 정비에 필요한 장비 제공과 함께 마스터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며 “주요 대학과 연계해 인재를 양성하고 블루핸즈 엔지니어를 대상으로는 고전압 배터리 및 충전 시스템, 고장 진단 등을 교육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블루핸즈, 오토큐, 자동차 전문가는 전기차 정비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차·기아 공식 서비스 네트워크 관계자는 ”내연기관, 전기차, 수소차에 적합한 엔지니어링 교육을 받고 있다”면서도 ”평일 근무 시간엔 교육을 받기 어려워 주말에 교육을 받아야 한다. 따로 시간을 내지 못하면 수강 기간이 길어져 전문성을 키우기 어려운 구조다. 그룹사에서도 전기차 정비 인력 채용을 따로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기차 관련 자격증 및 시험 도입을 촉구하기도 했다.
관계자는 “전기차의 경우 고전압과 관련된 사항을 점검해야 한다. 고전압을 측정하는 장비는 비싸진 않지만, 충분한 교육이 부족한 상황에서 장비 사용 경험이 부족한 엔지니어들이 구입을 꺼리는 상황”이라며 “전기차 정비 관련 자격증 및 시험을 만들어 관련 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고 부연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전기차 정비 인력은 각 정부 부처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현대차 아이오닉5, 기아 EV6로 정비 관련 교육·연구를 할 수 있는 대학교가 국내 몇 곳 되지 않는다. MOU를 맺어도 이를 교육할 수 있는 교수진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전기차 보급 확대에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교육부, 산업부, 환경부, 국토부, 과기부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020년 10월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 선점 전략에서 올해까지 전기자동차 정비소를 3300개로 확대하고, 2024년까지 미래차 검사 및 정비 인력을 4만6000명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정부의 재정의 긴축 전략으로 미래자동차를 포함한 관련 전반적인 인력양성 사업의 예산을 대폭 축소한 상황이다.
![](/data/kuk/image/2023/02/08/kuk202302080170.500x.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