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대기업 임금 수준과 인상률이 일본, 유럽연합(EU)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16일 발표한 ‘한‧일‧EU 기업규모별 임금수준 국제비교’에 따르면 초과급여를 제외한 한국 대기업 연 임금총액은 구매력평가환율 기준 8만7130달러다. 전체 22개국 중 5번째로 높은 액수다. EU 20개국 평균은 8만536달러, 일본은 5만6987달러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기업 임금수준은 156.9%로 전체 22개국에서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스 166.7%, 프랑스 160.6% 다음이다. EU 평균과 일본 평균은 각각 134.7%, 120.8%다.
대기업 임금 인상률 역시 가파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2년부터 2022년까지 20년 간 우리나라 대기업 임금 인상률은 157.6%인 반면, EU 대기업은 84.7% 올랐고, 일본 대기업은 6.8% 줄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 격차도 크다. 대기업 임금을 100으로 했을 때, EU 평균과 일본은 각각 65.1%, 73.7%다. 반면 우리나라는 57.7%에 불과하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연공형 임금체계와 강력한 노조로 인한 생산성을 초과로 한 일률적 임금 상승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며 “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임금인상은 지속가능할 수 없다. 직무와 성과에 기반한 임금체계로 전환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그는 “대기업의 누적된 고율 임금 인상으로 기업 규모 간 임금 격차가 커진 점까지 고려하면 대기업 임금 안정이 중요하다”며 “법정 정년연장은 지금도 높은 대기업 근로여건을 더욱 끌어올려 신규채용 여력을 악화시키고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심화시킬 수 있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