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신제품 폴더블 스마트폰 흥행에 힘입어 미국 시장에서 애플을 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현지시간) CNBC는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 자료를 인용해 지난 2분기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출하량 확대에 힘입어 31%로 1년 전의 23%보다 올랐다고 보도했다. 같은 기간 애플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56%에서 49%로 떨어진 것과 대조된다.
이 방송은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약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 영향을 상당 부분 받았지만, 경쟁사인 애플에 비해 다양한 가격대에서 다양한 폼팩터의 제품군을 제공하는 역량을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삼성전자가 지난달 신제품 폴더블 스마트폰인 갤럭시 폴드7과 플립7을 출시하면서 지난 2014년 미국 시장 패권을 둘러싼 삼성전자의 도전과 애플의 대응이 재현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삼성은 지난 2014년 대형 화면을 장착한 갤럭시 스마트폰을 출시하면서 아이폰을 누른 바 있다. 애플은 시간이 좀 지나고 나서야 대형 화면의 아이폰6를 출시하며 잃어버렸던 시장점유율을 회복했다.
삼성은 지난달 새 폴더폰을 출시했다. 펼치면 태블릿PC 크기가 되는 Z폴드7, 과거 플립폰과 닮았지만 현대 스마트폰 기능을 갖춘 Z플립 두 종류가 바로 그것이다. 삼성은 폴더폰 외에도 얇고, 가벼운 갤럭시 S25 에지도 내놨다.
CNBC는 삼성의 신형 스마트폰들이 내구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한 사용자는 라이브스트림에서 Z폴드7을 20만번 넘게 연속해서 접는 실험을 했다. 삼성 스마트폰의 내구성을 입증하는 이 동영상은 소셜미디어에서 빠르게 확산됐다. 이 영상의 어떤 버전은 유튜브에서 1500만회 넘는 누적 조회수를 기록했다.
소셜미디어 분석업체 스프라우트 소셜에 따르면 지난 한 달 Z폴드7을 비롯해 삼성 프리미엄 스마트폰들은 소셜미디어에서 5만번 넘게 언급됐다. 이 가운데 83%가 긍정적이거나 적어도 중립적이었다.
한편 전문가들은 애플이 다음 달 출시 예정인 더 얇아진 아이폰을 시작으로 내년 중 첫 폴더블폰을 출시해 삼성의 추격을 따돌리려 할 것으로 내다봤다.
JP모건의 사믹 채터지 애널리스트는 지난달 말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발표 후 낸 보고서를 통해 “올해 가을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의 업그레이드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관심은 이미 2026년 가을 신제품 출시로 옮겨간 상황”이라며 “애플은 내년 9월 아이폰 18 시리즈 중 하나로 삼성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와 유사한 폴더블 아이폰을 처음으로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채터지 애널리스트는 CNBC에 “지켜보면서 기술이 성숙해지는 것을 확인하고 그 기술 도입에 큰 걸림돌이 없다는 것을 파악한 다음 앞으로 나아가는 게 애플의 방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