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0일 (토)
수원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만든다...저출생 대책에 3600억 투입

수원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만든다...저출생 대책에 3600억 투입

기사승인 2025-03-24 15:13:16
'2025 수원형 저출생 대응 정책' 안내문.   수원시 
김태영 기자
ktynews@kukinews.com

경기 수원시는 ‘2025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저출생 대책으로 3600억원을 투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인구정책 시행계획은 ‘모든 세대의 삶의 질 향상’ ‘인구구조 변화 지역사회 인식개선 확산’ ‘저출생·고령사회 정책지원 통합 관리 및 체계화’ 등 3대 정책목표와 4대 추진 전략으로 구성된다.

함께·오래·희망·미래에 살다 등 4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저출생·고령화 대응뿐 아니라 시민 생애 전 주기를 돌보는 125개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저출생 대응 분야에는 3631억원을 투입해 임신·출산·양육·돌봄 분야 신규 사업을 발굴하고, 기존 사업은 확대 추진한다.

주요 추진사업은 △중소사업장 초등 새내기 10시 출근제 △다함께돌봄센터 확충 △아이돌봄 △수원새빛돌봄 돌봄공동체 조성사업 △난임부부 시술비·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다자녀가구 수원휴먼주택 지원 △청개구리 교실 등이다.

‘중소사업장 초등 새내기 10시 출근제’는 초등 새내기(1학년) 학부모 직원을 대상으로 ‘10시 출근제’를 도입하는 중소사업장에 단축근무 장려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초등 새내기 학부모 직원이 임금 삭감 없이 단축근무를 할 수 있도록, 수원시가 직원 1명당 2개월 동안 최대 60만원을 지원한다.

또 올해부터 수원새빛돌봄과 연계해 임신부를 대상으로 청소, 세탁 등 가사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생애 25회 지원하던 난임부부 시술비는 지난해 11월부터 출산당 25회(인공수정 5회, 체외수정 20회) 지원으로 확대했다. 본인부담률은 45세 미만 30%, 45세 이상 50%였지만 연령 구분을 없애고 30%로 동일하게 지원한다.

지난해 수원시 합계 출산율은 0.73으로 전국 평균(0.75)보다 0.02 낮았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6만8332명으로 전체 인구의 14.1%를 차지한다. 하지만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8.97% 증가했다. 전국 평균 증가율(3.1%)의 3배 가까운 수치다. 인구 100만명 이상 특례시 중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수원시 관계자는 “출산·양육 정책과 주거, 돌봄, 일자리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이 조금씩 효과를 내면서 지난해 수원시 출생아 수가 9%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청년과 신혼부부가 수원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수원’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9일 별세…향년 81세

‘뽀빠이 아저씨’라는 애칭으로 유명한 방송인 이상용이 9일 오후 2시30분께 별세했다. 향년 81세. 소속사 이메이드 관계자에 따르면 이상용은 이날 서울 서초구 자택 인근 병원에 다녀오던 중에 쓰러졌다. 이후 서울성모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세상을 떠났다. 관계자는 “전날에 같이 행사를 다녀왔다. 감기 기운이 있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갑자기 떠날 줄은 몰랐다”고 비통한 심정을 밝혔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에 마련될 예정이다.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