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물혹에서 출혈이 [건강 나침반]

갑상선 물혹에서 출혈이 [건강 나침반]

단순 낭종보다 재발 잦은 '출혈성 낭종'
글‧차정환 세란병원 외과 유방갑상선클리닉 과장

기사승인 2025-04-25 07:59:03

갑상선은 우리 목의 쇄골 바로 위에 위치한 내분비선 중 하나다. 흔히 ‘물혹’이라고 말하는 낭종은 갑상선에 자주 발생한다. 갑상선 낭종은 갑상선 조직 내에 액체(맑은 물, 피, 세포 찌꺼기)가 고여 형성되는 물혹 형태의 결절이다. 퇴행성 변화, 출혈, 선천적 이상, 염증성 원인 등 요인이 다양한데 낭종 내 미세혈관 파열로 혈액이 고여 생기는 것을 ‘출혈성 낭종’이라고 한다.

갑상선 낭종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훨씬 흔하며 나이가 들수록 발생률이 증가한다. 출혈성 낭종은 기존의 갑상선 낭종에서 출혈이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낭종 안에 혈액이 스며들거나 고이는 현상으로 혈관의 미세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보통 갑작스럽게 부풀어오르며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통증은 눌렀을 때에 생길 수도 있고 자발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연하곤란(삼키기 어려움)과 이물감이 있으며 낭종이 성대를 압박하는 경우 목소리가 변화한다. 대부분의 출혈성 낭종은 양성이다. 그러나 낭종 내 고형 부위가 크거나 벽에서 석회화가 관찰되는 경우, 혈류가 관찰되거나 가족력, 림프절 비대 등 위험인자가 있다면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단순 낭종보다 출혈성 낭종은 재발률이 높다. 반복적으로 재출혈시 알코올 경화술 또는 수술적 제거를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드물게 출혈이 갑상선암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세포검사로 확인이 필요하며, 초음파 추적검사는 보통 3~6개월 간격으로 시행한다.

출혈성 낭종은 고형과 액체가 합쳐진 ‘혼합형 낭종’으로 분류된다. 그 빈도는 정확히 집계되지 않지만 혼합형 낭종의 흔한 경과로 출혈성 낭종이 꼽힌다. 낭종성 결절 중 약 1~5% 미만에서 악성(갑상선암) 가능성이 있다. 특히 혼합형 낭종이나 고형 성분이 많은 낭종에서는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출혈성 낭종은 갑상선 초음파로 진단 가능하다. 초음파 시행 시 내부에 혼합성 음영(액체와 고형물질)이 보이며 출혈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세포검사는 출혈성 내용물에서 비정형 세포가 있는지 확인하며 낭종 안에 악성세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세침흡인검사는 진단과 동시에 치료 목적으로 출혈된 내용물을 흡인한다. 이는 갑상선 결절의 악성 여부를 판단하며, 초음파 유도하에 낭종 부위를 확인하고 바늘을 찔러 세포를 채취한다.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하며 방사선 노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출혈성 낭종으로 통증과 압박감이 존재한다면 세침 흡인으로 감압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재출혈이 반복된다면 알코올 경화술을 시도해볼 수 있다. 낭종의 크기가 크거나 출혈이 반복되거나 고형 성분이 반복된다면 재발 위험이 더 높다.

출혈성 낭종은 초기 치료 후 1~2개월 내 초음파로 추적 검사를 해야 하며, 의심 소견시 세침 흡인을 재시행하고 필요시 수술적 평가를 한다. 아스피린 등 항응고제 복용 환자는 사전에 약물 중단 여부 상담이 필요하며, 출혈 후 멍이나 통증이 남을 수 있어 냉찜질 및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