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2024년 8월)’과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2025년 3월)’에 따라 공급망·안보 요소를 강화한 ‘2025년 상반기 풍력·태양광 설비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을 시행한다.
풍력 설비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서 처음으로 ‘안보지표’를 평가 항목에 포함해 도청이나 해킹 등에 취약한 해외 기자재 사용, 외국계 자본의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잠식 우려 등을 선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를 통해 풍력 1.25GW(기가와트), 태양광 1.0GW 입찰을 공고했다고 26일 밝혔다.
먼저 풍력 경쟁입찰(1.25GW)의 경우 고정식 해상풍력을 대상으로 한다. 이 가운데 500MW(메가와트) 규모는 올해 처음 도입된 ‘공공주도형’ 입찰시장 물량이다. 공공주도형 입찰시장에는 발전공기업 등이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나머지 750MW는 민간 주도 방식의 일반형 입찰 물량이다.
산업부는 “올해부터 풍력 경쟁입찰이 연 2회에 걸쳐 진행되는 만큼, 지난해 진행했던 부유식 해상풍력과 육상풍력은 하반기 공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유식 해상풍력과 육상풍력의 공고 용량은 입찰 로드맵에 따른 잔여 물량 수준과 입찰 수요를 반영해 결정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입찰에서는 사업자 선정 평가 항목에 ‘안보지표’가 신설돼 공공주도형에는 8점, 일반형에는 6점이 배점됐다. 발전설비 및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국내 공급망 기여 수준, 공급처 다변화 등의 안보 요소가 입찰의 평가의 주된 기준이 된다.
입찰자가 제시할 수 있는 최고 단가의 상한 가격은 글로벌 균등화 발전비용(LCOE) 추세와 해외 사례 등을 고려해 지난해와 동일하게 MWh당 17만6565원을 유지했다. 다만 공공주도형 사업에 대해서는 우대 가격을 부여하고 정부 연구·개발(R&D) 실증 풍력시스템 성과물을 활용할 경우 추가 우대 가격을 부여한다.
태양광 경쟁입찰의 상한 가격은 지난해보다 하향 조정한 MWh당 15만5742원이다. 최근 입찰 경쟁률,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현물시장과의 가격 격차, 글로벌 균등화 발전비용 추세 등을 고려했다.
또한 산업부는 이번 태양광 입찰에서 탄소배출량 항목을 새롭게 도입해 총 20점을 배점하고, 제조 과정에서 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저탄소 태양광 모듈 사용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 경우 외국산 제품에 비해 국산 모듈이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수요 기업의 최근 재생에너지 구매 수요를 고려해 지난해 시범 도입한 전력구매계약(PPA) 중개 시장을 지속적으로 운영한다. 이를 통해 이번 경쟁 입찰에 선정된 발전소를 대상으로 RE100 수요 기업과 매칭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올해 PPA 중개 시장 사업은 계약 기간을 20년 이내에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충분한 계약 협의를 위해 협약 기한을 연장하는 등 제도적 유연성을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