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재무장관 “성실 협상 국가도 선 못 넘으면 상호관세 재부과 가능”

美재무장관 “성실 협상 국가도 선 못 넘으면 상호관세 재부과 가능”

기사승인 2025-07-01 07:27:19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연합뉴스 

미국 도털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 종료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할지 여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며 협상 상대국들을 압박하고 있다.

30일(현지시간)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유예 연장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그건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달려 있다”며 “나는 어떤 나라에도 연장이 가능하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베센트 장관은 “우리와 성실히 협상하고 있는 국가들이 있지만, 그들이 완고해져서 우리가 합의에 못한다면 4월 2일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베센트 장관은 ‘18개 주요 무역 파트너 국가 중 몇 개가 내달 9일 전에 협상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시간이 지
나면 알 수 있을 것”이라면서 “TV에서 공개적으로 협상해 사람들을 책임에서 벗어나게 할 수는 없다”고 했다.

이어 그는 “항상 그렇듯이 압박이 커지는 마지막 주에는 혼란이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뒤 4월 9일부터 90일간 이를 유예하고 주요 교역국들과 협상을 진행해 왔다. 이에 따라 7월 8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7월 9일부터 상호관세가 다시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일본 등이 미국과 무역협정 체결이 임박한 국가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한국은 지난 22~28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방미해 협상을 가속하겠다는 의지를 미국 측에 밝힌 바 있다. 다만 한국은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아직 채 한 달이 지나지 않아 오는 7월 9일 이전 협상 체결에는 물리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베센트 장관은 또 ‘협상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알려줄 수 있느냐’는 진행자 요청에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재무부나 미무역대표부(USTR), 상무부 등 20년 경력의 직원들이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는 점”이라고만 답했다.

그러면서 “그들(미국 부처 직원들)은 (상대) 기업 및 국가들이 믿기 어려운 제안을 들고나오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며 “관세 인하, 비관세 무
역장벽, 통화 문제, 노동력 및 자본의 유리한 조달 방식 등 이 모든 것들이 논의 대상으로, 모든 국가가 양보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진 주택 가격 부담과 관련해 목재에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베센트 장관은 “현재 논의 중인 것은 상호관세이며, 232조는 적용까지 시간이 더 걸리는 사안”이라며 “향후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협상에 성실히 임하는 국가에 대해선 유예 기간을 넘겨 협상을 계속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내비쳐 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개별 국가에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서한을 발송하는 방식을 선호한다고 밝히면서 유예 연장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다.
정혜선 기자
firstwoo@kukinews.com
정혜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