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일본이 상호 관세 부과를 앞두고 극적으로 무역협상을 타결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 협상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3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미국과 일본의 협상 결과에 대한 세부 내용은 파악 중”이라며 “우리의 협상에도 참고할 부분이 있다면 참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현재 안보실장과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을 방문 중이며, 이번 주 중 경제부총리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미국 주요 인사들과 면담이 예정돼 있다”며 “우리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삼고 미국 측과 협의에 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은 22일(현지시간), 8월 1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일본과의 무역 협상을 전격 타결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일본은 예고했던 25%의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자동차에는 기존 2.5%의 관세가 더해져 최종 15%의 상호관세가 적용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같은 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협상 타결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그는 “이번 무역합의는 아마도 지금까지 이뤄진 합의 중 가장 큰 것”이라며, “일본은 내 지시에 따라 미국에 5500억 달러(약 758조 원)를 투자하고, 미국은 그 이익의 90%를 얻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가 수십만 개의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일본이 미국산 자동차·트럭, 쌀, 일부 농산물 등에 대해 시장을 개방하고, 미국에 15%의 상호관세를 지불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당초 지난 4월 일본에 24%의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했다가 이달 7일 25%로 상향한 바 있으나, 이번 협상에서 10%포인트를 인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