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姜 사퇴’ 두고 셈법 갈린 與 당권주자…당심 공략 본격 신경전

‘姜 사퇴’ 두고 셈법 갈린 與 당권주자…당심 공략 본격 신경전

정청래 “동지는 비 함께 맞아야”…박찬대 “李정부 성공 위해 뭐든 하겠다”
정청래는 ‘결속’ 박찬대는 ‘민심’ 강조하며 리더십 차별화
엇갈린 셈법…다만 경선 일정 변경으로 영향 있을지는 미지수

기사승인 2025-07-24 18:41:11 업데이트 2025-07-24 21:59:14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후보자인 정청래·박찬대(왼쪽) 의원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장 앞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들이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두고 미묘한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다. 두 후보는 강 전 후보자 사퇴에 대해 상반된 메시지를 내놓으며 차별화를 꾀하는 동시에 당심 선점 경쟁에 불을 지피고 있다.

박찬대 후보는 24일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 김영수입니다’에 출연해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어떤 것도 해야 하겠다는 그 부분에 있어서 저와 강 후보자의 생각이 일치했다”라며 강 후보자의 결단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전날 강 전 후보자 사퇴 발표 17분 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누군가는 말해야 하기에 나선다.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스스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박 후보 측은 강 전 후보자의 갑질 논란 대상으로 거론된 국회 보좌진에 대한 연대 의식을 드러내며 ‘민심’을 강조했다. 노종면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동료 의원에게 위로 한마디조차 공개적으로 던지기 어려워질 것을 알면서도 그 사람 좋은 박찬대가 차갑게 행동했다”라며 “그림자로 살아온 보좌진, 그들도 동지라는 생각이 뜨겁게 꿈틀대지 않았을까 저는 이렇게 짐작한다”라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박 후보의 행보를 두고 현재 전당대회 판세를 뒤집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강 전 후보자의 갑질 논란 이후 여론 악화로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박 후보가 사퇴를 요구한 것은 민심에 대한 책임있는 태도를 부각하려는 의도라는 평가다.

장철민 민주당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금태섭의 아침저널’에서 “정청래 후보가 지지층을 조금 더 대변했다면 박찬대 후보는 대통령실을 더 대변한 느낌”이라며 “박 후보 같은 경우 대통령실과의 소통을 통해 ‘궂은일을 대신해 주겠다’는 쪽으로 명확하게 본인의 방향성을 보여준 것 같다”라고 평가했다.

나아가 실제 사퇴로 이어질 경우, 이른바 ‘명심(明心)’의 향방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정치적 계산도 깔려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정치에 민감한 국민들은 (박 후보와 이 대통령 사이에 교감이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서도 “우연의 일치라도 해도 박 후보 측에서는 그러한 게 싫지 않을 것이고, 정 후보 측에서는 좀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반면 정청래 후보는 강 전 후보자 사퇴 직후 위로의 메시지를 전하며 동지적 연대를 강조했다. 그는 보좌진 갑질 의혹이 제기된 직후에도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였고, 훌륭한 국회의원이었다. 힘내시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페이스북에 “동지란 이겨도 함께 이기고 져도 함께 지는 것. 비가 오면 비를 함께 맞아 주는 것. 인간 강선우를 인간적으로 위로한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지금은 우리가 이재명 대통령과 당원 중심으로 단결할 때”라고 당내 결속을 강조했다. 이는 인사청문회 제도 도입 이후 현역 국회의원이 낙마한 초유의 상황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이재명 정부와 당을 지키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다만 전당대회가 폭우 피해 및 수해 복구 상황을 고려해 연기된 상황에서 이 같은 두 후보의 셈법이 실제로 당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여전히 미지수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설령 이번 일로 당심이 흔들리더라도 미리 결과를 까볼 수 없기 때문에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라며 “만일 원래대로 권역별 순회 경선을 치렀더라면 변화하는 당심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어 여론에 영향을 많이 미쳤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관계자도 “사퇴를 촉구한 것에 대한 반발도 있고, 대통령실의 국정 운영 부담을 알고도 엄호한 것에 대한 반발도 있다”라며 “평가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권혜진 기자
hjk@kukinews.com
권혜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