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부동산 대출규제 이후 서울·경기지역에서 하락 거래 비중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전문가들은 주택 공급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내년 집값이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1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은 44.4%로 전월(46.5%) 대비 2.1%p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했다. 상승 거래는 줄고 하락 거래는 늘어나는 ‘하락 전환’한 것이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지난달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이 45.0%로 전월(48.1%) 대비 3.1%p 감소했으나 하락 거래는 35.1%에서 39.2%로 4.1%p 증가했다.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감소한 반면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증가했다. 경기도는 상승 거래가 46.0%에서 43.2%로 축소됐고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었다. 지방은 7월 상승 거래가 전월보다 0.2%p 줄어든 44.0%, 하락 거래는 0.4%p 증가한 43.5%로 변동 폭이 미미했다.
다만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이전 등 정치 이슈 영향으로 한때 가격 상승세가 가팔랐던 세종시는 7월 상승 거래 비중이 전월 대비 7.2%p 낮아진 41.7%, 하락 거래 비중은 9.9%p 증가한 45.2%를 각각 기록해 하락 전환 폭이 컸다.
직방은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되면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며 “다만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조정 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6‧27 대책 효과는 길지 않을 것이라 진단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은 “노무현·문재인 정부의 경험에 비춰볼 때 이번 조치의 효과는 3∼6개월에 불과할 우려가 있다”며 “강력한 공급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눌려 있던 매매 수요가 저금리와 경기 활성화 분위기를 타고 다시 살아나면서 4분기 중 집값이 다시 급등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주산연이 한국주택학회 이사 69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3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 집값 전망에 대해 36%가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 응답했다. 하락 전망은 23%, 상승 전망은 17%로 조사됐다. 반면, 내년 집값에 대해서는 54%가 상승할 것이라 전망했다. 상승 전망으로는 ‘공급 부족’이 43%로 가장 많았고 ‘금리 하락’과 ‘기대 심리’가 각각 25%를 차지했다.
김 실장은 “공급 효과가 나타났을 때 집값은 장기 안정세를 구현한다”며 “3기 신도시 신속 공급, 민영주택 공급 촉진을 위한 규제 혁파, 도시 정비 활성화 등 빠르고 강력한 공급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