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하락거래 비중 4.1%p 증가

6·27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하락거래 비중 4.1%p 증가

기사승인 2025-08-11 10:25:30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송파구와 강남구 아파트 단지 모습. 곽경근 기자

6·27 부동산 대출규제 이후 서울·경기지역에서 하락 거래 비중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전문가들은 주택 공급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내년 집값이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1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은 44.4%로 전월(46.5%) 대비 2.1%p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했다. 상승 거래는 줄고 하락 거래는 늘어나는 ‘하락 전환’한 것이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지난달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이 45.0%로 전월(48.1%) 대비 3.1%p 감소했으나 하락 거래는 35.1%에서 39.2%로 4.1%p 증가했다.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감소한 반면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증가했다. 경기도는 상승 거래가 46.0%에서 43.2%로 축소됐고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었다. 지방은 7월 상승 거래가 전월보다 0.2%p 줄어든 44.0%, 하락 거래는 0.4%p 증가한 43.5%로 변동 폭이 미미했다.

다만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이전 등 정치 이슈 영향으로 한때 가격 상승세가 가팔랐던 세종시는 7월 상승 거래 비중이 전월 대비 7.2%p 낮아진 41.7%, 하락 거래 비중은 9.9%p 증가한 45.2%를 각각 기록해 하락 전환 폭이 컸다.

직방은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되면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며 “다만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조정 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6‧27 대책 효과는 길지 않을 것이라 진단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은 “노무현·문재인 정부의 경험에 비춰볼 때 이번 조치의 효과는 3∼6개월에 불과할 우려가 있다”며 “강력한 공급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눌려 있던 매매 수요가 저금리와 경기 활성화 분위기를 타고 다시 살아나면서 4분기 중 집값이 다시 급등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주산연이 한국주택학회 이사 69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3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 집값 전망에 대해 36%가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 응답했다. 하락 전망은 23%, 상승 전망은 17%로 조사됐다. 반면, 내년 집값에 대해서는 54%가 상승할 것이라 전망했다. 상승 전망으로는 ‘공급 부족’이 43%로 가장 많았고 ‘금리 하락’과 ‘기대 심리’가 각각 25%를 차지했다.  

김 실장은 “공급 효과가 나타났을 때 집값은 장기 안정세를 구현한다”며 “3기 신도시 신속 공급, 민영주택 공급 촉진을 위한 규제 혁파, 도시 정비 활성화 등 빠르고 강력한 공급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