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방 전쟁’ 서막 올라…지상파 VS 종합편성채널

‘안방 전쟁’ 서막 올라…지상파 VS 종합편성채널

기사승인 2009-07-26 18:00:01

[쿠키 경제] 방송법 개정으로 다시 ‘안방 전쟁’의 막이 올랐다. SBS 등 지역민방 출현, 케이블TV 등장, IPTV 도입에 이은 네번째 지각변동이다. 논란을 뚫고 종합편성채널(종편) 2개가 내년 개국하면 20∼50년간 시청자 ‘눈맛’을 길들인 KBS MBC SBS 등 지상파 채널과 본격 경쟁하게 된다.

◇시청자 확보전=현 방송법 시행령에 종편은 의무전송 채널로 돼 있다. 전국 모든 케이블TV에서 방송되기 때문에 단숨에 1500만 시청가구를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새 방송법에 맞춰 개정될 시행령에서 이 규정이 어떻게 바뀔지 불투명하다. 국회방송 등 공익적 채널에 주는 특혜를 종편이 누리는 게 타당치 않다는 지적이 많다.

의무전송이 안 되면 종편 사업자는 채널 편성권을 쥔 100여개 케이블 사업자(SO)를 상대로 마케팅에 나서야 한다. 막대한 비용이 드는 만큼 경쟁력이 떨어진다. 기득권을 가진 지상파 사업자는 물밑 견제로 맞설 게 뻔하다. OBS(경인방송)도 이런 견제에 막혀 서울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각 지상파 인접 채널은 대부분 거액 ‘론칭비(채널 확보를 위해 SO에 지불하는 관행적 대가)’를 내는 홈쇼핑이다. 종편은 ‘홈쇼핑 번호’를 확보하고, 지역마다 같은 번호에 편성되도록 총력전에 나설 전망이다. 그래야 단기간에 시청률을 높이고 ‘MBC=11’ 같은 채널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다. 종편 도입을 밀어붙인 정부는 한시적 의무전송 등 정책적 배려로 진입 장벽을 낮출 가능성이 크다.

◇광고 쟁탈전=현 제도에선 이론적으로 종편이 유리하다. 24시간 방송이 가능하고, 지상파에 허용되지 않는 중간광고도 할 수 있다. 지상파는 한국방송광고공사에서 광고를 배정받지만 종편은 직접 영업에 나설 수 있다. 대기업이 참여할 경우 모기업에서 고정적 광고 물량을 확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케이블 채널 광고 단가는 지상파의 10분의 1 수준이다. 광고 단가는 시청률과 직결돼 있다. 종편이 인기 콘텐츠를 만들지 못하면 전체의 68%인 지상파 광고 물량을 빼앗기 어렵다. 더욱이 지상파는 형평성을 내세워 중간광고 허용을 강력히 요구할 태세다. 민영 미디어랩이 도입돼 지상파 광고 판매가 경쟁 체제로 바뀌면 상황은 또 달라진다.

이 때문에 KBS 수신료 인상 여부가 종편의 생사를 좌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수신료를 올려 현재 60%인 KBS의 광고 의존도를 20%까지 낮추면 KBS 광고 수입 중 연간 4000억원 이상이 시장에 풀린다. 방송통신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최근 “종편이 살아남 게 먹을 거리를 주는 길은 KBS 수신료 인상밖에 없다”고 했다.

◇편성 전략과 킬러 콘텐츠=핵심 전선은 뉴스 드라마 버라이어티쇼다. 역대 후발주자는 모두 9시 뉴스 맞대결을 피했다. SBS는 8시, OBS는 10시 뉴스를 개척했다. 그러나 신문사가 참여한 종편은 기존 보도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9시 정면 승부를 택할 가능성이 있다.

주 수입원인 드라마나 오락은 수성을 위한 지상파의 물량 공세에 종편이 틈새 편성으로 대응하는 양상일 것으로 보인다. 제작 노하우가 부족한 상황에선 킬러 콘텐츠 개발에 집중하는 게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SBS도 드라마 ‘모래시계’의 성공에 힘입어 급성장한 전례가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
태원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