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0일 (토)
만성질환사망률 감소 6대 요소 '열쇠'

만성질환사망률 감소 6대 요소 '열쇠'

기사승인 2014-05-12 16:04:01
"
[쿠키 건강] 세계보건기구(WHO)가 심혈관질환, 만성 호흡기질환, 암, 당뇨병 등 비전염성질환 사망률 감소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2025년까지 25% 사망률 감소(25x25)' 달성의 핵심으로 6개의 위험요소가 재부각됐다. 특히 흡연의 경우 더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큰 폭의 사망률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요저자인 영국 임페리얼대학 Vasilis Kontis 교수는 4일 세계심장학술대회(WCC)에서 "흡연, 알코올 섭취, 염분 섭취, 비만, 혈압, 혈당 6가지의 위험요소들의 관리를 통해 비전염성질환의 사망률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에서는 활용가능한 역학연구들의 재분석과 메타분석을 통해 위험요소들이 비전염성질환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현재 WHO와 세계심장재단(WHF)은 25x25의 목표로 흡연율 30%, 해로운 알코올 섭취 10%, 염분섭취 30%, 고혈압 25%, 비만 및 당뇨병 증가 억제 등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이런 목표들을 달성할 경우 30~70세 인구의 주요 4개 비전염성질환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대비 2025년에는 남성 22%, 여성 19%의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

이와 함께 2025년까지 3700만명의 질환진행 지연이나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위험요소 관리를 통한 혜택은 고령과 저중소득국에서 클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 구분했을 때는 30~69세 인구에서 1600만명, 70세 이상에서 인구 2100만명에게 혜택이 있을 것으로 전망됐고, 저중소득국가에서는 3100만명의 질환진행 지연 및 예방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팀은 여러 위험요소 중 흡연에 대한 공격적인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Kortis 교수는 "흡연을 50% 이상 감소시켰을 때 남성에서 24% 초과, 여성에서는 20%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한편, 학술대회 현장에서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 Robert Beaglehole 교수는 "위험요소의 관리는 가장 핵심적이면서도 비용대비 효과적이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번 연구에서 6개의 위험요소 관리를 통해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34%, 만성 호흡기질환은 24%, 암은 7%, 당뇨병은 5% 감소될 것으로 나타났다"며 "2025년까지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임세형 기자 shlim@monews.co.kr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9일 별세…향년 81세

‘뽀빠이 아저씨’라는 애칭으로 유명한 방송인 이상용이 9일 오후 2시30분께 별세했다. 향년 81세. 소속사 이메이드 관계자에 따르면 이상용은 이날 서울 서초구 자택 인근 병원에 다녀오던 중에 쓰러졌다. 이후 서울성모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세상을 떠났다. 관계자는 “전날에 같이 행사를 다녀왔다. 감기 기운이 있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갑자기 떠날 줄은 몰랐다”고 비통한 심정을 밝혔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에 마련될 예정이다.19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