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4일 (월)
보라팍사, 스텐트 혈전증 감소효과 입증

보라팍사, 스텐트 혈전증 감소효과 입증

기사승인 2014-12-02 15:13:55
"TRA 2°P-TIMI 50 연구 결과…출혈 위험도는 여전히 높아

트롬빈 수용체 길항제 계열 항혈소판제제인 보라팍사(vorapaxar, 제품명 존티비티)가 스텐트 혈전증 발생 위험도에 혜택을 보였다.

미국 심장학회 저널 JACC(2014;64:2309-2317)에 게재된 TRA 2°P-TIMI 50 연구 하위분석에서는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안정형 환자에게 투여했을 때 위약군 대비 유의하게 스텐트 혈전증 발생률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단 출혈 위험도는 2012년 발표결과와 마찬가지로 높게 나타났다.

TRA 2°P-TIMI 50 연구는 2만 644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무작위 분류 전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1만 4042명, 임상시험 기간 중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449명이었다.

평균 2.5년 추적관찰한 시점에서 평가했을 때 152건의 스텐트 혈전증이 발생했고, 92%는 늦거나(late) 매우 늦은 시기(very late)에 발생했다. 보라팍사군과 위약군 간 스텐트 혈전증 발생률을 비교했을 때 각각 1.1%, 1.4%로 보라팍사군의 스텐트 혈전증 발생 위험도가 29% 낮았다. 스텐트 혈전증 발생률에 대한 보라팍사의 혜택은 무작위 분류 시점의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시행 시기, 당뇨병 병력, 약물용출 스텐트의 사용, 이중항혈소판요법 등과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단 GUSTO로 출혈 위험도를 평가했을 때는 중등도~중증 출혈 위험도가 57% 높았다.

연구팀은 ""안정형 환자에서 추적관찰 3년째 평가했을 때 스텐트 혈전증 발생률은 무작위 시점에서 이중항혈소판요법을 받은 환자에서 스텐트 혈전증 발생률은 1.4%였다""며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고 항혈소판치료를 받고 있는 안정형 환자에게 보라팍사를 장기간 투여할 경우 스텐트 혈전증 발생을 유의하게 줄일 수 있다""고 정리했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임세형 기자 shlim@monews.co.kr"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붕괴 나흘째 ‘광명 신안산선’…주민 대피명령에 학교는 휴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인 14일 현장 실종자 수색을 위해 소방당국이 밤샘 작업을 벌였다.이날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전날 오후 2시 10분 수색 재개를 위해 상부 안전펜스 및 낙하물 제거 등 조치에 돌입했다. 이어 오후 10시쯤 굴삭기 3대를 배치, 구조작업 위치 경사면을 확보했다. 40여분 뒤에는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덮개 작업을 마무리했다. 밤샘 작업에 이은 수색은 이날 오전까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 포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