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별검사로 진단된 모든 C형간염 환자를 전부 치료할 필요는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BMJ 1월 15일 온라인판에 게재된 미국 조지타운의대 Kenneth Lin 박사팀의 연구의 핵심은 특정 연령대에서 대규모 C형간염 선별검사를 권고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즉 선별검사가 감염자들이 겪을 피해 정도나 치료 혜택에 대한 근거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는 주장.
현재 해외에서는 C형간염 선별검사의 권고대상 가운데 약 4분의 3이 출생률이 급증한 베이비 붐 시대(1945년~1965년까지)에 태어난 이들이다.
이와 관련 질병관리예방본부(CDC)는 2012년 당시 1945년에서 1965년 사이에 태어난 이들을 대상으로 C형간염 선별검사를 권고했으며, 뒤이어 2014년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이 내용을 그대로 인용했다.
◇베이비 붐 세대 대상 선별검사 권고, 근거는 있나?
이들 베이비 붐 세대가 선별검사 대상에 고려되는 주된 이유는 C형간염 치료제가 본격 도입됐던 1992년 전까지 불법적인 문신 시술이나 감염자의 수혈, 정맥주사용 약물사용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연령대에선 안전성 관리가 허술했던 사회적 상황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연구자 대부분은 해당 연령대에서 이 같은 대규모 선별검사가 유효성과 필요성 측면에서 과연 합당한지 의문을 품고있다. 단지 선별검사 결과 바이러스 양성 소견을 보였다고 해서 수백만의 C형간염 감염자 모두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유로 드는 것.
선별검사로 진단된 C형간염 환자에서 과도한 치료로까지 이어지는 상황이 우려를 사는만큼, 광범위한 선별검사를 진행하기에 앞서 과연 이 검사가 유용한지, 어떤 대상에서 검사에 따른 혜택이 가장 높은지 무작위 임상연구가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미국의 경우 C형간염 관리에 이렇게 열을 올리는 이유가 있다. 현재 C형간염으로 매년 약 16000명의 환자가 사망한다는 통계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
◇선별검사 이은 과도한 치료, 도대체 문제는?
C형간염 선별검사의 근거 부족과 함께 과도한 치료에서 부각되는 또 다른 문제는 치료제와 관련이 있다. 기존 인터페론 주사제들의 피로, 독감유사증상 등의 이상반응은 줄이고 100%에 가까운 완치수준으로 효과를 개선한 하루 한 알 복용하는 경구용 치료제들의 등장은 반길만 했다.
그러나 비용에 있어 신약들은 항암제 수준의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어 정작 치료가 시급한 환자에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졌다.
대표격인 길리어드의 소발디와 뒤이어 승인된 하보니는 12주 치료에 각각 8만 4000달러, 9만 4500달러가 든다. 가장 최근 승인된 애브비의 비키라팩(viekira Pak)은 동기간 처방에 8만 3319달러가 책정됐다.
이에 C형간염 환자가 많은만큼 선별검사에서 진단된 인원들이 차세대 항바이러스제로 과도한 치료를 받는 것은 재정적인 부분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문제라는 지적이다.
미국의 의료진들은 ""새로운 경구용 치료제들은 아직 장기간 효과와 안전성에 있어 확실한 검증을 받은 것은 아니다""며, ""인구출생 기반 코호트 선별검사의 시행에 대해서도 압박을 받아서는 안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국내 직장인 검진 누락, ""40대 이상 생애주기 검진 1회 이상 요구""…해외와 대비
한편, 국내 C형간염 유병률은 B형간염 보다 낮은 1% 수준으로 보고되지만 아직 인구기반 유병률 조사가 부족한 상황이라 통계를 맹신할 수는 없다.
작년 대한간학회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 일부 교도소 재소자(고위험군) 대상 교육에서 유병률이 10% 수준(30명 중 3명)으로 높게 나타나 사회적 환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경제활동이 활발한 직장인 검진에서 C형간염바이러스(HCV) 검사가 빠져있는데, 40세 이상의 고위험군에서는 추후 관리를 위해서도 1회 이상의 생애주기 검진이 요구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해외의 적극적인 선별검사 시행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원종혁 기자 jhwon@mo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