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
‘레날리도마이드’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서 실패

‘레날리도마이드’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서 실패

기사승인 2015-03-08 13:14:55
"MAINSAIL 연구, 사망위험도 증가로 조기 종료

[쿠키뉴스] 외투세포 림프종 치료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는 레날리도마이드(lenalidomide)가 거세-전이성 전립선암 환자에서 효과와 안전성 모두에서 혜택 입증에 실패했다.

주요저자인 미국 예일암센터 Daniel P. Petrylak 박사는 Lancet Oncology 2015년 3월 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된 연구를 통해 ""레날리도마이드를 독세탁셀 + 프레드니손 병용요법에 추가하는 전략은 사망률 및 유해반응 발생률을 증가시켰다""고 강조하며 이후 추가적인 연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MAINSAIL 연구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중
화학요법 초치료 환자들 대상으로 독세탁셀 + 프레드니손 기반 요법에 레날리도마이드와 위약군의 효과를 평가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3상임상이다.

연구팀은 ""레날리도마이드가 항혈관형성 효과가 있는 면역조절제""라고 소개함과 동시에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들에 적용할 수 있는 치료전략이 많지 않다""고 설명하며 연구의 배경을 밝혔다.

연구팀은 2009년 11월 11~2011년 11월 23일 1059명의 대상군을 모집했다. 이들은 화학요법 초치료 환자들로 독세탁셀 75mg/㎡ 1일 1회, 프로드티손 1일 2회 5mg 기저요법으로 1~21일 간 투여받았고 레날리도마이드 25mg군과 위약군으로 분류돼 21일 치료 사이클 중 1~14일을 병용 투여받았다. 1차 종료점은 전반적인 생존율이었고 효과분석은 Intention-To-Treat로 진행했다. 1도스 이상 투여받은 환자들은 모두 안전성 분석에 포함됐다.

하지만 추적관찰 8개월째 전체 대상군 중 221명이 사망했고, 레날리도마이드군(525명)에서 129명, 위약군(521명)에서는 92명이 사망해 레날리도마이드군에서 더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이를 이유로 연구는 조기종료됐다.

총 21일의 치료기간 이후 28일 경과 여부를 기준으로 사망률을 평가한 결과 치료 후 28일 내에 사망한 환자비율은 레날리도마이드군에서 3%, 위약군에서 2%였고 28일이 경과해 사망한 비율은 각각 21%, 15%였다. 사망원인은 대부분 질환의 진행이었다.

추가적으로 유해반응을 평가한 결과에서도 혜택은 없었다. Grade 3 이상의 유해사건이 하나 이상 보고된 비율은 레날리도마이드군 73%, 위약군 58%로 차이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Grade 3~4의 백혈구감소증은 각각 22% vs 16%, 열성 호중구 감소증은 12% vs 4%, 설사는 7% vs 2%, 폐렴은 5% vs 1%, 호흡곤란은 4% vs 2%, 무기력증은 5% vs 3%, 폐색전증은 6% vs 1%로 나타났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임세형 기자 shlim@monews.co.kr"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나경원 “이번 대선은 체제전쟁…이재명 꺾을 것”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위험한 이재명을 꺾고 승리의 역사를 만들겠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나 의원은 11일 오후 2시쯤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서 그는 "무너져가는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고 진정한 국민 승리의 시대를 열겠다"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이번 대통령 선거를 '체제 전쟁'에 비유하며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낼 것이냐, 아니면 반자유·반헌법 세력에게 대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