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소득과 학력 수준에 따라 한국인의 당뇨병 발병 위험도가 최고 8배까지 차이난다는 흥미로운 보고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대중 교수팀은 우리 국민의 학력ㆍ소득 수준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드러났다고 1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10년…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 자료(대면조사 포함)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연세 메디컬 저널(Yonsei Medical Journal, YMJ)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번 연구는 공복혈당이 126 ㎎/㎗ 이하이거나, 당뇨병 진단을 받었거나 현재 혈당강하제ㆍ인슐린 등을 사용 중인 당뇨병 환자 1만 4000여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연구논문(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the Prevalence of Diabetes, 사회ㆍ경제적 지위가 당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교육 기간이 12년 이상인 30∼64세 여성을 기준으로 교육 기간이 10∼12년이면 2.1배
7∼9년이면 5.1배 7년 미만이면 8배였다.
즉 연령대 최저 학력 여성의 당뇨병 발생 위험이 최고 학력 여성보다 8배나 높다는 의미다.
아울러 30∼64세 남성의 당뇨병 발병 위험도 학력에 따라 5.8배까지 차이를 보였다는게 연구팀의 부연설명이다(교육 기간 12년 이상 1, 10∼12년 2, 7∼9년 4.2, 7년 미만 5.8).
반면 65세 이상 노인에선 학력에 따른 당뇨병 발생 위험 차이가 눈에 띄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65세 이상 남성 노인의 경우 최저 학력 노인의 당뇨병 발생 위험이 최고 학력 노인보다 오히려 약간 낮았다.
연구팀은 ""노화가 당뇨병의 워낙 강력한 위험 요인이어서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사회ㆍ경제적 영향력이 크게 희석된 결과""라면서 ""남부 독일에서 1653명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고연령 층에선 사회ㆍ경제적 지위와 당뇨병 유병률이 이렇다 할 상관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가계 수입에 따른 당뇨병 발병 위험의 격차 역시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이 가계 소득이 상위 25% 이내인 30∼64세 여성을 대상으로 가계 소득별 당뇨병 발생 위험을 비교한 결과 소득 상위 25∼50%가 2배 소득 하위 25∼50%가 2.7배 소득 하위 25% 이내가 5배였다. 이는 최저 소득자와 최고 소득자의 당뇨병 발생 위험이 5배나 벌어진 셈이다.
이 연령대 남성에서도 소득 하위 25% 이내이면 상위 25% 이내인 사람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1.9배나 높았다.
하지만 65세 이상 노인에선 남녀 모두 소득이 당뇨병 발생 위험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히려 저소득 노인이 고소득 노인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약간 낮았다.
김대중 교수는 ""고학력, 고수입 등 사회ㆍ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사람들은 몸을 더 활발하게 움직여 허리둘레가 상대적으로 짧았고(최고 학력 81.1㎝, 최저 학력 83.6㎝) 수축기(최대) 혈압도 낮았다(최고 학력 115㎜Hg, 최저 학력 129㎜Hg""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정부의 당뇨병 관리·예방 정책은 저학력·저소득 계층, 특히 중년의 여성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박미라 기자 mrpark@mo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