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조규봉 기자] <김민희 아나운서> 이번 시간은 쿠키 건강 플러스의 인기 코너죠. 봉기자의 호시탐탐입니다. 오늘도 제 옆에 조규봉 기자님 나와 계십니다. 오늘 주제 알려 주시지요.
<조규봉 기자> 네. 안녕하세요. 호시탐탐의 조규봉 기자입니다. 메르스 파문이 진정되자 이번에는 백일해, 식중독 의심 집단 설사 등 감염성 질환이 잇따라 발병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온이 올라가는 여름철에는 식중독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죠. 그래서 오늘 호시탐탐에서는 여름 특집으로 식중독 예방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민희 아나운서> 식중독. 뭐라고 정의내릴 수 있을까요?
<조규봉 기자> 식중독이란 식품의 섭취에 연관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 물질에 의해 발생했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뜻합니다. 말이 좀 어렵죠? 그냥 쉽게 말하면 세균이나 바이러스, 기생충, 독소 등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하고 발생하는 설사, 구토, 복통, 발열 증상을 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김민희 아나운서> 네. 식중독은 특히 요즘처럼 덥고 습한 날씨에 음식이나 물이 쉽게 상하기 때문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독소 등이 원인이라고 하셨는데 그 중 식중독 원인으로 가장 많은 것은 무엇인가요?
<조규봉 기자> 세균에 의한 식중독입니다. 세균에서 생산된 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독소형 식중독과 세균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감염형 식중독으로 분류 할 수 있죠.
<김민희 아나운서> 네. 세균이 식중독이 가장 큰 원인이 되는군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가구마다 냉장고가 없는 집을 찾기 힘들만큼 보급이 잘 되어 있잖아요. 물론 밖의 온도는 높지만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냉장실이나 냉동고에 음식을 넣어 보관하게 되면 아무래도 세균이 안 생기지 않을까요?
<조규봉 기자> 그렇게 생각해 내버려두기 쉬운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한 대학교 연구팀이 최근 아파트 10가구를 조사한 결과 냉장고 채소 칸의 세균이 변기 속보다 최대 1만 배나 더 많았다고 하네요.
<김민희 아나운서> 네? 화장실 변기보다 세균이 많다고요? 열 배도 아니고 백 배도 아니고 어떻게 만 배나 더 많은 세균이 음식을 보관하는 냉장고 안에 있을 수 있을까요. 정말 놀랍네요. 결국 우리는 집안. 특히 믿고 있던 냉장고 안에서 식중독균을 키우고 있는 셈 인거네요?
<조규봉 기자> 맞습니다. 다들 큰 실수를 하고 계시는 것이죠. 음식물을 냉장고에 넣는다고 해서 식중독균이 죽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그 증식과 성장만 억제되는 것이죠. 겨울에는 낮은 온도에서 활발하게 증식하며 적은 양으로도 식중독을 일으키는 노로 바이러스가, 여름에는 식중독은 병원성 대장균이 주 원인균인 경우가 많죠. 특히 여름 식중독의 원인균은 빠른 속도로 자라 4시간이면 식중독 발생 수준까지 증식합니다.
<김민희 아나운서> 그렇군요. 겨울보다 여름에 환자가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가 있었네요. 그럼 여름철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 원인균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조규봉 기자> 오염된 김밥, 튀김, 닭고기, 돼지고기 등에서 발생하는 살모넬라균.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거나 오염된 칼, 도마, 행주 등 주방 조리 기구를 통해 전염되는 장염 비브리오균. 비가 올 때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통해 감염되는 노로 바이러스. 감염된 쇠고기, 햄버거, 우유, 퇴비로 기른 채소 등을 통해 전염되는 병원성 대장균 등이 있습니다.
<김민희 아나운서> 많은 원인 균들이 있는데요. 그 중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균이 있다고 들었어요. 어떤 균인가요?
<조규봉 기자> 황색 포도상구균입니다. 황색 포도당구균은 섭씨 100℃에서 30분간 끓여도 파괴되지 않고 장 독소를 만들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죠. 세균 증식 온도가 5~60도인 점을 감안하면 냉장고 온도는 5도 이하가 바람직합니다. 냉동실은 영하 18도 이하로 맞춰야 하고요.
<김민희 아나운서> 냉장고는 5도 이하. 냉동실은 영하 18도 이하.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온도를 제대로 설정해놓지 않는다면 냉장고도 결국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을 텐데요. 이번에는 올바른 냉장고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자님, 냉장고 보관 기간의 경우 식품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각기 다 다르죠?
<조규봉 기자> 그렇습니다. 일단 먹다 남은 밥, 과일 주스, 조리한 생선, 날생선, 다진 고기 등은 24시간을 넘기지 말아야 하고요. 개봉한 통조림, 조리된 육류, 수프, 훈제 연어, 삶은 달걀의 보관기간도 이틀을 넘기면 절대 안 됩니다. 우유는 4~5일 보관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육류나 유제품. 생선 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은 1~2일 정도만 냉장 보관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상하기 쉬운 육류, 닭고기, 생선은 비닐봉지 등에 따로 담아 서로 닿지 않도록 해 냉장고의 가장 찬 곳에 보관하거나 육류저장실에 넣어야 합니다. 달걀은 플라스틱 포장을 한 상태로 보관하면 되고 버터나 마가린은 식품 냄새를 잘 흡수하므로 잘 싸서 냉장실에 넣는데 냉동실에 넣어두면 최장 60일간 보관할 수 있습니다. 빵은 냉장고과 냉동실에 모두 보관할 수 있지만 냉장실에 넣어두면 부드러움이 없어지므로 질이 변하지 않는 냉동실에 두는 것이 좋고요.
<김민희 아나운서> 네. 그리고 아예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는 것이 좋은 식품들도 있죠?
<조규봉 기자> 그렇죠. 파인애플, 바나나, 토마토, 가지, 감자, 식용유, 통조림 등은 아예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김민희 아나운서> 일반적으로 식중독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게 되나요?
<조규봉 기자> 빠르게는 30분 이내 혹은 수주가 지난 뒤에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오염된 음식을 섭취한 지 12~72시간 후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등에 시달리게 되는데요. 보통 성인은 1~3일 이내 자연 치유가 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 노약자, 만성질환자는 식중독이 발생하면 탈수 증상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24시간 이상 증상이 지속될 때, 발열과 함께 복통이 동반될 때, 집단 식중독이 의심될 때는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김민희 아나운서> 네. 오늘 봉기자의 호시탐탐에서는 여름철에 특히 더 주의가 필요한 식중독 예방 요령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식중독 예방을 위해선 무엇보다 식사 전과 외출 후에는 꼭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이 좋겠고, 냉장고 보관이라고 다 믿어선 안 되겠습니다. 자 지금까지 호시탐탐이었습니다. ckb@kukinews.com
[쿠키영상] 한밤중 도로에서 처녀 귀신이 등장한다면? '귀신 몰카' 실험자가 제대로 당했다!
[쿠키영상] 버팔로 사체 두고 충돌한 악어 VS. 사자
[쿠키영상] '노약자·임산부 금지 영상' 호랑이 우리 안으로 떨어진 남성, 결국..."동물원 못 가겠네 무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