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정원제 도입 등 학회 노력에 정부도 답해야”

“총정원제 도입 등 학회 노력에 정부도 답해야”

기사승인 2016-03-05 09:46:55

[인터뷰] 주명수 대한비뇨기과학회 회장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비뇨기과 전공의는 2009년 123명을 모집 이후 2013년 95명, 2014년 24명, 2015년 34명, 2016년 31명 등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때문에 병원들에서는 비뇨기과가 사라질 날이 멀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비뇨기과학회 주명수 회장은 “학생들은 편한 과, 나가서 돈을 잘 벌수 있는 과를 지원하려고 한다. 학회도 전공의 총 정원제라는 극단적인 처방까지 도입하며 생존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도저히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는 상태”라고 현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주 회장은 “비뇨기과 전공의 수급 문제는 수술의 저수가와 함께 개원을 해도 비급여 항목이 대부분 급여로 전환되면서 개원가의 수입이 줄었다. 학회 역시 전공의 수급조절에 나서는 시기도 늦었고, 상대적으로 타 비인기과에 대한 지원은 더욱 비뇨기과에 박탈감을 갖게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학회에서 7~8년전 전공의 수급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지만 다양한 의견으로 결론을 내지 못했다. 그러다 5년 전에야 전공의수 기준을 ‘지도의 수 - 2명’에서 ‘지도의 수-3명’으로 변경했는데 시기가 늦었다”라며 “지금은 학회가 비뇨기과 전공의를 50명으로 한정하는 토탈정원제까지 병원협회에 올리는 최악의 상황이다. 이는 84개의 수련병원 중 대학병원에 최대 2명을 뽑을 수 있게 하고 다른 병원에서 1명씩을 뽑는다고 해도 40여개의 수련병원 전공의를 받지 못하는 방안이다. 학회는 의국이 감소하더라도 비뇨기과 생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비뇨기과 전공의 수급불균형이 지속된다면 중증 고난이도 비뇨기계 질환 환자들의 진료를 담당하는 비뇨기과 수련 병원들의 진료공백과 교육을 담당하는 각 수련병원 비뇨기과교실 등의 존립도 위협한다”라며 “특히 시간이 많이 걸리고 난이도가 높은 수술은 전공의가 없어 하기 힘들어 대형병원으로 전원하거나 차선의 치료를 할 수밖에 없을 수도 있다”라고 우려했다. 수술을 케어 할 전공의가 부족해 다른 스텝이 하거나, 큰 수술은 대형병원으로 미루거나 환자를 기피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급속한 고령화는 노인성 질환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고 이런 질환 중 비뇨기과만이 해결할 수 있는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배뇨장애와 같은 문제들도 점점 증가될 것”이라며 “멀지 않은 미래에 비뇨기과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 환자들이 늘어날 것임에도 이를 잘 대처하고, 최선의 치료를 제공해줄 젊은 비뇨기과 의사들이 점점 더 줄어 이제는 전문 진료과목으로서 비뇨기과 존립을 걱정해야 하는 현재의 상황은 결국 언젠가는 국민들, 특히 노령의 환자들에게 재앙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 회장은 비뇨기과 활성화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외과와 같이 모든 비뇨기과 수술·처치·검사 행위에 비뇨기과 전문의 30% 수가 가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전 임상과의 동의를 얻어 확정해 입법에고까지 진행됐던 체외충격파쇄석기 설치 인력기준에 비뇨기과 전문의 단독 전속 정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요양병원 입원료 8개과 전문의 가산정책을 즉각 폐지하거나, 고령화사회에 노인의료를 담당하는 비뇨기과를 입원 가산과에 즉각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ioo@kukimedia.co.kr


[쿠키영상] 꽁꽁 언 호수에 고립된 멧돼지

[쿠키영상] "제발, 일어나!" 작은 새의 우정이 불러온 기적

패션쇼 중 가슴 노출 사고에도 그저 '무덤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