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9일 (목)
[쿡기자의 건강톡톡] 아침 식사 먹으면 ADHD 위험 줄어들까

[쿡기자의 건강톡톡] 아침 식사 먹으면 ADHD 위험 줄어들까

기사승인 2016-03-18 00:03:55

[쿠키뉴스=장윤형 기자] 10대 청소년이 아침밥을 챙겨 먹으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17일 한국식품건강소통학회(KFHCS)에 따르면 상명대 외식영양학과 황지윤 교수팀이 2013년 8∼12월 ‘아침밥 클럽’에 가입한 서울지역 고등학생(10개교) 315명의 식생활 학교생활 심리상태 변화 등을 추적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습니다.

‘아침밥 클럽’에 참여한 학생에겐 첫 교시 시작 전에 시리얼·흰 우유·과일, 빵·두유·과일, 떡·떠먹는 요구르트·과일주스, 시리얼바·우유·과일 등 네 가지 메뉴의 아침 식사가 제공됐습니다.

연구팀은 또 ‘아침밥 클럽’ 가입 학생에게 식사일기(24시간 회상법)를 쓰도록 한 뒤 가입 전후의 식품·영양소 섭취량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황 교수는 “아침밥 클럽 가입 후 버섯·과실의 섭취는 늘고 계란·유지류 섭취량은 줄었다”며 “영양소별론 칼로리·식물성 단백질·탄수화물·식이섬유·식물성 철분·칼륨·아연·비타민 B1·비타민 C 섭취량은 증가하고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아침밥 클럽 가입 후 학교생활도 나아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점수가 가입 전 평균 27.2점에서 가입 후 19.8점으로 감소했습니다.

황 교수는 “ADHD 점수가 몇 점 이상이면 실제 ADHD로 진단되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준은 없지만 아침 식사를 챙겨 먹는 것이 ADHD 예방엔 분명히 효과적”이며 “아침밥을 먹으면서 정서적 안정을 갖게 돼 정신건강이 개선된 결과”로 풀이했습니다.

ADHD는 주의력이 부족해 산만·과잉행동·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ADHD 아를 방치하면 집중력 장애 충동성 등이 심해져 학습능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심각한 사회적응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통계(2012년)에 따르면 20세 이하의 어린이·청소년 ADHD 환자는 2007년 4만8095명에서 2011년 5만6957명으로 증가했습니다.

국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2009년)에선 ADHD와 그 경계선에 있는 학생의 아침 결식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아침식사로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음식을 섭취하면 하루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충분히 얻어 정신건강에도 유익할 것으로 보입니다.
vitamin@kukimedia.co.kr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선 사전투표 첫날…주요 후보자들 투표 참여

주요 대선 후보들은 6·3 대선 사전투표 첫날인 29일 오전 일제히 투표장을 찾아 시민들의 참여를 호소했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날 대학가가 있는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서 청년들과 함께 투표했다. 그는 투표 후 기자들에게 "국민들께서 반드시 투표에 참여하셔서 잘못된 결과를 빚어낸 내란 세력에 대해 엄중하고 강력하게 심판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지지층 일각의 사전투표 부정선거 의혹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