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건호 교수팀은 췌관세포를 췌도세포와 같은 인슐린 분비 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Preadipocyte factor 1(Pref-1) 인자를 이용했다. Pref-1은 미성숙한 지방세포인 지방전구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주로 지방세포 기능에 대한 연구 등에서 보고됐는데 일반적으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물질로 알려졌다.
연구를 통해
배아 및 손상 후 재생 췌장의 췌관세포에서 높게 발현되는 Pref-1의 특성에 착안해 췌장 성체 줄기세포로 알려진 췌관세포에서의 Pref-1의 역할 및 기전을 확인하고, 나아가 당뇨 모델의 혈당 조절에 미치는 Pref-1의 효과를 증명했다.
췌장의 경우 Pref-1은 배아기 및 임신 중인 모체의 췌장에서 발현되다가 태생 직후 그 정도가 억제되어 정상 성체 췌장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데 90% 췌장 절제 후 손상을 받은 췌장의 췌관 세포에서 일시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됐다.
특히 Pref-1에 의해 증가됐던 췌도세포 관련 단백질에 ▲ERK1/2 활성화 억제제인 PD98059 투여 시 인슐린 생성 관련 인자의 억제; FOXO1의 인산화, PDX1의 발현 ▲Akt 활성화 억제제인 LY294002 투여 시 인슐린 분비 관련 인자의 억제; SYP, CgA, SCG2 등 두 기전이 서로 독립적으로 나타나며 췌관세포에서도 인슐린을 발현하는 세포가 유도됐고 포도당 자극 후 인슐린이 분비되는 등 췌도세포와 같은 기능적 역할을 하는 것이 관찰됐다.
또 췌장을 절제해 당뇨병을 유도한 쥐 모델에 Pref-1을 투여했을 때 췌관세포(PanCK 발현 세포) 및 췌도세포(Insulin 발현 세포)에서 세포 증식의 표지자인 Ki67의 발현이 증가됐다.
췌장 절제 후 1주일 째 췌장에서 새로운 췌관세포의 증식 정도가 향상됐고 그 결과 4주일 후 췌장에서 췌도세포의 증식이 촉진됐다. 같은 시기에 당부하 검사를 시행했을 때 Pref-1을 투여한 당뇨군에서 혈당 강화 효과가 유의하게 향상됐음을 확인했다.
제1 저자인 이승환 교수(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는 “그동안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으나 아직까지 임상에 적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췌관세포가 인슐린을 분비할 수 있는 기능을 획득할 수 있도록
유도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Nature의 자매지로 자연과학 전반과 임상과학에 대한 논문을 수록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에 ‘Preadipocyte factor 1 induces pancreatic ductal cell differentiation into insulin producing cells’라는 제목으로 발표(4월 5일 온라인 게재) 됐다. kioo@kukimedia.co.kr
[쿠키토이] '인형과 대화를 나눈다고?' 100가지 대답을 하는 '말 많은 똘똘이'와 친구가 됐어요~
[쿠키영상] 과욕이 부른 참사
[쿠키영상] 색조에 따라 장르가 달라지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