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의 직무가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생활안전 분야까지 확대되어 위험노출빈도는 날로 증가하지만, 지난해 말벌을 제거하다 숨진 소방공무원의 순직 기각논란처럼 현행법은 화재진압이나 인명구조작업에서 사망한 경우만 사실상 순직공무원으로 인정되고 있어 이에 대한 처우가 미흡한 실정이다.
개정안은 소방공무원이 화재진압, 인명구조 외에도 붕괴·낙하 위험물 제거, 유해동물 포획·퇴치 등 생활안전활동상 입은 위해로 사망한 경우도 순직의 범위로 명확히 명시해 타 직종과 형평성에 맞게 ‘위험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범위를 규정하도록 했다.
지난 한 해에만 직접적인 화재·재난구조활동 외에 생활안전 활동으로 출동한 건수는 33만6036건으로 ‘11년 16만8459건 보다 2배나 증가했다. 특히 이중 벌집제거의 경우 12만8444건(’15년)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 공무원연금법 개정과 함께 국립묘지 안장대상 요건에 소방공무원의 생활안전활동으로 인한 순직이 누락되어 자칫 불이익을 볼 수 있는 부분도 개정했다.
지난 2015년 7월 소방기본법 개정 당시 제16조의2 제5항 생활지원활동 부분이 삭제되고 제16조의3(생활안전활동)으로 별도 신설됐으나 이 과정에서 기존에 소방직의 국립묘지 안장대상에 포함됐던 제16조의3 내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누락된 것이다.
이에 박남춘 의원은 “일선에서 목숨을 걸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분들에 대해 정작 그들의 안전과 대우는 국가가 안일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 같다. 위험직 종사자들의 불합리한 제도 개선과 합당한 처우가 이루어지도록 대책 마련을 위해 더 힘쓰겠다”고 말했다.
kioo@kukinews.com
[쿠키영상] 23살 응석꾸러기 아들의 정체는? 거대한 '불곰'
[쿠키영상] ‘30년 만에 최악’ 러시아 남부 뒤덮은 메뚜기떼 영상 ‘어마무시’
[쿠키영상] 퍼스널 트레이너 김예원의 개인 PT 강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