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배터리 결함’ 조사 나선 정부…‘제2의 갤노트7’ 가능성은?

‘아이폰 배터리 결함’ 조사 나선 정부…‘제2의 갤노트7’ 가능성은?

기사승인 2016-12-15 18:18:32

[쿠키뉴스=김정우 기자] 중국을 시작으로 불거진 애플의 ‘아이폰’ 배터리 결함 논란에 우리나라 정부까지 나서면서 ‘제2의 갤럭시 노트7’ 사태로 번질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배터리 논란 국내까지 확산 조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은 15일 애플의 스마트폰 아이폰 일부 모델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관련 자료를 애플코리아에 요청한 상태라고 밝혔다.

국표원 관계자는 “(아이폰의 전원 꺼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 하는 단계다. 아직 애플 측의 답변은 받지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는 아이폰 일부 제품에서 배터리가 남아 있음에도 ‘전원 꺼짐’ 현상이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최근 국내외 다수 소비자들은 ‘아이폰 6’와 ‘아이폰 6s’ 일부 제품에서 배터리 잔량이 50% 가까이 남아 있음에도 전원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을 호소해 왔다.

애플은 이에 대한 대응으로 해당 제품군에 대한 배터리 교환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애플은 지난해 9월과 10월 생산된 제품 일부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조립 전 일정기간 특정한 환경에 노출시켜두는 배터리 공정에서 시간 조절을 잘못한 것이 원인이라고 해명했다.

논란은 중국에서 아이폰 폭발 사례가 발생했다는 소식에 오히려 증폭됐다. 지난 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 소비자위원회는 ‘아이폰6’ 폭발 신고 8건을 접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WSJ는 중국에서 아이폰 배터리 관련 불만이 제기된 것이 세 번째라고 보도했다.

애플이 조치에 나섰음에도 논란이 가라앉지 않는 이유로는 애플의 부실한 대응도 한몫 했다.

애플은 지난해 9~10월 생산 제품에 한해 문제가 발생한다고 밝혔지만 소비자들은 제조 시점과 상관없이 아이폰 6, 아이폰 6s 전 모델에서 전원 꺼짐 현상이 일어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국내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미국 IT 전문매체 더버지는 “애플이 처음에는 (문제에 대해) ‘아주 조금’이라고 하더니 이제는 ‘조금’이라고 표현을 바꿨다”며 어설픈 대응을 지적하기도 했다.

◇ 국표원 “갤노트7과 달라…시장 모니터링 차원”

아이폰 배터리 결함 논란은 올해 하반기 발화 문제로 리콜·판매중지에 들어간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7’ 사태를 연상시킨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 판매된 306만 대의 갤럭시 노트7 제품 전량을 리콜 조치했으며 현재 글로벌 90%, 국내 80% 이상의 제품이 회수됐다.

국표원은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국표원 제품안전정보과 담당자는 “(이번 조치는)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한 것이 아니고 문제가 있는지 여부 확인을 위한 것”이라며 “국내에서 보고 된 사고 사례가 없기 때문에 사고 발생에 따라 조치된 갤럭시 노트7 건과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또 “시장에는 수많은 제품이 있고 이들의 사용자에 대한 위해 가능성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제품안전정보과의 일상적 업무”라고 덧붙였다.

국표원은 제품에 소비자에 대한 위해 가능성이 있을 경우 리콜 명령 등의 조치를 내리는 기관이다. 일반적으로 사업자는 제품에 이 같은 문제가 있을 경우 국표원에 보고하고 자발적 리콜을 실시해야 하며 이 것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정부가 리콜 권고 또는 명령을 내린다.

즉 논란의 아이폰이 중국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발화 또는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면 국표원에서 리콜 등의 조치를 내릴 수 있지만 단순 전원 꺼짐 현상과 같은 품질 문제에 그친다면 소비자원 등에서 나서게 된다.

만약 애플의 문제 대응에 문제가 있다면 공정위까지 칼자루가 넘어갈 수 있다. 논란이 확산되고 애플이 문제 규명 또는 해결에 나서지 않을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정부의 자료 요청에 응하는 것이 사업자의 법적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요청에 협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중국 당국은 애플 측에 이번 문제에 대한 전면 재조사를 요청한 상태로 애플이 어떻게 대응할지 여부가 주목을 끌고 있다.

tajo@kukinews.com
김정우 기자
tajo@kukinews.com
김정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