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청 시대, 열매 맺는 국토 균형발전

신도청 시대, 열매 맺는 국토 균형발전

기사승인 2017-04-20 13:31:21

[쿠키뉴스 안동=김희정 기자] 경북도청 이전은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북도 북부권 발전의 계기를 만들고, 도내 균형발전과 나아가 국토 균형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중요한 변화이다. 이러한 변화를 발전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하고 실현가능한 사업의 발굴과 추진이 중요하다.

 

◆ 4대 권역별 프로젝트 추진 집중
경북도는 무엇보다 권역별 전략사업 추진을 통한 경북 균형 발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동해안권 발전 전략인 ‘경북 신(新)이니셔티브(계획)’, 서부권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소재’, 남부권은 ‘경북 창의지식 서비스벨트 전략’, 북부권은 도청 신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경북 북부권 생명그린밸리 산업’을 육성한다.

특히 ‘경북 북부권 생명그린밸리 산업’은 경북의 지역 균형발전과 한반도 허리경제권의 중심축을 구축하기 위해 핵심 7대 신성장 동력산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7대 신산업은 ▲ 바이오·백신산업(백신산업 클러스터 조성, 세포배양 산업화 허브구축, 기능성 식품․발효산업) ▲ 알토란 신소재산업(알루미늄 융복합 소재, 하이테크 베어링 상용화, 반도체 특수가스 산업, 친환경 천연소재 개발) ▲ 한의신약산업(5대 만성질환 한의신약 개발, 약용작물 시험재배단지 조성) 등이다.

문화 ICT융복합산업(K-Culture벨리 조성, 디지털 콘텐츠 문화산업, 실경 가상체험 테마파크 조성) ▲ 스포츠 융복합산업(첨단스포츠산업 생태계 조성, 스포츠메디칼․가상훈련산업, e-스포츠 게임산업) ▲ 미래농생명산업(스마트 농기계 부품개발, IOT스마트 축산시스템 구축, 스마트 농업 창업벨리 조성) ▲ 에너지 산업(햇살에너지·스마트그리드 산업)도 포함됐다.

도는 북부지역이 생명그린벨리 7대 신산업이 지역균형발전의 신성장 축으로 뻗어나가 수도권과 남부경제권을 연결하는 한반도 허리경제권의 중심으로 자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남부권은 지식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한 ‘경북 창의지식 서비스벨트’ 전략을 구체화한다. 국가 창의지식 서비스벨트는 남부 중심인 경산, 영천권 등의 첨단지식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경북 미래발전 전략 틀을 짠다는 계획이다. 서부권은 구미를 중심으로 ICT 신기술 창조산업단지를 구축해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소재’를 개발해 나간다.

 

동해안권의 경우 환동해안 시대를 열기 위해 추진 중인 ‘동해안권 개발사업’이 순항 중이다. 경북도 외에도 강원도, 울산시 등이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특별법’의 목적을 구현하고자 2010년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을 수립했다. 2020년 완료할 계획이다.

도는 2010년 계획수립 이후 그동안 국내외 여건, 새로운 정책 환경과 지역 환경에 대한 변화와 추진사업 재검토 등을 반영해 변경계획을 확정했다. 

관계부처 협의와 의견수렴, 국토계획평가, 국토정책위원회 최종심의를 거쳐 지난 6월 21일 변경계획을 결정·고시하는 등 동해안권 개발 사업을 순조롭게 추진하고 있다

동해안권 창조경제 거점조성, 환동해 해양·대륙 소통 교두보 구축을 목표로 하는 변경계획의 추진전략은 미래에너지·해양자원 신성장 동력 창출, 신산업 창출 및 특화산업 기반 구현, 환동해 국제관광 기반 및 융·복합 관광 육성, 환동해 소통 인프라 확충 등이다. 

4개 추진전략 분야의 44개 사업에 7조 7185억원이 반영됐으며, 지난해까지 2조 8439억원이 투자됐고, 올해 이후 4조 8746억원이 투자된다. 

도는 미래 에너지·해양자원 신성장 동력 창출에 9개 사업 1조 6710억원을 투자해 동해안 에너지 산업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신재생에너지 산업거점을 구축한다.

신산업 창출 및 특화산업 기반 구현에는 8개 사업 4730억원을 들여 융·복합형 산업기반과 산업간 연계 협력체계 구축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친환경 농수산물의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한다.

환동해 국제관광 기반 및 융·복합 관광 육성에는 22개 사업 1조 8134억원이 투자된다. 권역별 특화개발로 환동해권 글로벌관광 거점을 구축하고, 해양자원 이용 효율화 제고를 통한 해양 휴양·레포츠 벨트 구축, 지역 고유 자원을 활용한 융·복합 관광을 육성한다.

환동해 소통 인프라 확충에는 5개 사업 3조 7611억원을 투입해 동해안권의 해양·대륙 소통 기반을 마련하고, 동해안권의 발전축 형성과 내륙과의 연계 체계 구축, 동해안권의 주요 발전 동력 연계·지원 기반을 확충한다.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을 통해 도는 영일만항 건설, 동해 중·남부선 철도, 울릉 일주도로 건설 등 타 지역에 비해 열악한 SOC망 구축과 원자력 에너지 클러스터, 해양에너지 연구·생산단지 조성 등 거대 과학기반 조성의 터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다.

도는 동해안권 개발사업이 완료되면 동해안의 산업과 해양·문화·관광 인프라 획기적 개선은 물론, 영일만항의 해양·물류기능 강화, 에너지와 해양자원의 융·복합 구축으로 일자리 창출과 신산업 기반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생산 파급효과 10조 2558억원, 부가가치 파급효과 3조 9392억원, 수입파급효과 1조 1176억원, 고용파급효과 8만3292명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한반도 허리경제권 사업 탄력
신도청 시대를 성공적으로 연 경북도는 ‘한반도 허리경제권’구축을 본격화 한다. ‘한반도 허리경제권’은 도가 도청이전을 계기로 북위 36도에서 만나는 충청·강원권 등과 연계해 국토의 새로운 동서 발전축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수도권과 남부권을 잇고 환동해와 환서해를 연결하는 새로운 국가발전의 틀을 만든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산업경제 분야의 바이오융복합 신산업벨트, 국가미래농생명벨트, 미래형 시스템 반도체 밸리, 문화 ICT융복합 신산업벨트, 국가스포츠산업밸리 구축이 주요 목표다.

도는 도청이전으로 형성되는 ‘한반도 허리경제권’을 구체화하기 위해 지난해 6월 경북과 충청, 강원, 전북 등 7개 시·도로 구성된 ‘중부권 정책협의회’를 출범시키고, 이를 운영하기 위한 실무협의회도 구성했다.

또 주요 발전, 협력 의제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대구경북연구원을 중심으로 허리 경제권역의 시`도 연구원들이 공동연구, 협력하는 ‘중부권포럼’을 운영하고 있다.

10월에는 개별 시·도와 협력강화를 위해 충남도와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 양 도는 한반도 허리(보령~울진) 고속도로 조기건설, 동서 내륙철도 조기건설, 신라·백제문화권 상생협력 사업, 허리경제권 스포츠·관광밸리 조성, 한반도 허리경제권 해양물류 기반 확충, 도청이전특별법 개정, 지방합동청사 건립 등에 협력키로 했다.

아울러 한국문화의 원류인 신라, 백제문화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유네스코 문화유산 공동 활용, 신라-백제사 공동연구 및 학술대회 등을 열고, 스포츠 생태자원과 관광자원을 공동 활용해 국가 수상레저벨트와 동서 산하(山河) 생태관광루트를 조성키로 했다.

환동해와 환황해 경제권 발전을 위해 포항영일만항과 당진항의 공동 포토 세일즈, 한반도 일주형 마리나 루트와 동북아 한중일 국제 크루즈 루트를 개발하는데도 힘을 모은다.

강원도와는 공동 추진 중인 ‘국가 산채 클러스터’와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동해중부선 철도(포항~삼척), 남북7축 고속도로 등에 대한 협력도 속도를 내는데 뜻을 모았다. 

‘태백-소백 산림휴양 레포츠 밸리’와 안동~원주를 연결하는 ‘바이오-생명산업 밸리’에 대해서도 사업이 조기에 본 궤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키로 했다.

문경 군인올림픽과 평창 동계올림픽 인프라를 기반으로 이 지역을 국가 스포츠 벨트로 묶어 나가는 것도 구체화 할 계획이다.

이처럼 도는 충남도, 강원도 등과 정책 환경이 유사하고, 협력 가능성이 큰 분야를 중심으로 공동과제 개발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과 연계를 구체화 하고 있다. 

특히 향후 바이오, 스포츠, 산림 분야에서 중부내륙권 3개 도 간 상생협력과 정책연계를 강화함으로써 국책사업 등을 적극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국토의 허리 축에서 만난 경북과 충남, 강원이 협력을 강화해 국토균형발전을 이끌어 나가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hine@kukinews.com

김희정 기자
shine@kukinews.com
김희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