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문재인 대통령의 통신비 인하 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미래창조과학부의 대책보고를 받았지만 ‘미흡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고 있지만 미래부가 국정위에서 만족할 만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 기본료 폐지라는 공약 이행이 가져올 업계의 부담이 가장 먼저 꼽힌다.
이통사의 ARPU는 설비 유지‧투자부터 마케팅까지 다양한 비용으로 쓰인다. 1만1000원을 일괄 인하하게 될 경우 마케팅 비용 등의 감소로 이어져 실제 소비자들의 단말기 구입과 관련한 혜택이 줄어드는 등 부작용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이는 국내 가계 통신비 부담이 높다는 공감대에 따른 것이다. 실제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우리나라 2인 이상 가구 기준 월평균 가계 통신비는 14만4000원 수준으로 OECD 회원국 중 최상위권이다.
반면 이통사들은 실제 사용량 대비 요금 수준은 높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통사 관계자는 “국내 가입자들의 데이터 사용량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다수의 소비자가 사용하는 최고급 단말기 구매 비용까지 포함된 통신비 총액을 다른 국가와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고 토로했다.
이병태 카이스트(KAIST) 경영대학 교수도 “IT‧통신이 발달한 국가 중 통신 단가로만 치면 우리나라는 낮은 수준”이라며 “국내 이통사 영업이익률 7~8%도 해외 상장사 평균 이익률 수준으로 높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통사 관계자는 “가계 부담을 줄이겠다는 정부의 취지에는 공감한다”며 “가뜩이나 이통사가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인식이 퍼져있는 상황에서 무리한 요금 인하에 반대하기도 어렵고, 받아들인다 해도 적자를 면하기 위해 마케팅 비용 등을 줄이면 또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이와 관련해 김연학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시장 경쟁 활성화를 통한 요금 인하 유도가 바람직하다"며 이통사도 기본료 인하 등 가계 통신비 경감에 성의를 보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tajo@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