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8일 (일)
[건강 나침반] 늘어나는 치매환자, ‘신경인지치료’ 중요

[건강 나침반] 늘어나는 치매환자, ‘신경인지치료’ 중요

기사승인 2018-04-08 05:00:00
글·세란병원 신경과 이윤주 과장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고령화에 따른 치매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12년에는 54만여명이었던 환자가 2018년 현재 70만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2024년에는 10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치매는 뇌의 퇴행성 질환으로 최선의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상태가 서서히 나빠지기 때문에 환자나 보호자들에게 매우 두려운 질환이다. 치매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방법은 약물치료이지만 이는 병을 치료하기 보다는 진행을 늦추는 데에만 효과가 있어 치매의 극복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치매는 무엇보다 발생하기 전 병원에 방문해 현재 기억장애 수준에 대한 진단을 정확하게 받고 예방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유지되는 기억 장애 단계를 치매 전단계, 경도 인지장애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경도인지장애란, 환자가 인지기능 감퇴를 호소하고, 객관적인 검사에서도 유의한 저하가 관찰되나 일상생활 기능은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 외에도 객관적으로는 정상이어도 주관적으로 본인이 과거보다 인지기능 저하된 것을 호소하는 상태를 주관적 인지장애라고 한다.

이런 경도인지장애와 주관적 인지장애 단계에서 치매로 진행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최근 인지중재치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지중재치료는 인지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 인지기능의 개선을 위한 비약물치료법으로 인지훈련, 인지재활, 인지자극 등으로 구성돼 있다.

실제 이런 인지중재프로그램을 통해 주관적 인지장애 및 경도 인지장애 노인에서 BDNF단백질이 상승한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BDNF 단백질은 신경세포의 성장과 생존, 분화에 관련된 물질로 이 단백질이 줄어들면 인지기능이 감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인지치료를 꾸준히 반복해서 한 환자의 인지검사 결과가 객관적으로 상승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치매를 진단받지 않은 주관적 인지장애와 경도인지장애의 경우 치매 위험률이 일반적인 노인에 비해서 각각 2배, 6배로 높게 나타나는 만큼 이 단계에서 치매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인지장애와 관련된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경우 단순한 건망증으로 치부하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기억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이 증상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인지중재치료에 참여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일기 쓰기, 규칙이 있는 놀이 (오목, 낱말 맞추기 등)를 즐기는 것이 중요하며, 유연성 및 혈액순환 향상을 위한 운동과 스트레칭을 함께 하는 것이 좋다.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검찰, ‘홈플러스 사태’ 김병주 MBK회장 귀국길 휴대폰 압수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하고도 대규모 단기 채권을 발행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압수수색해 휴대전화 등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18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 이승학)은 전날 오후 영국 런던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한 김 회장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이 과정에서 김 회장의 휴대전화 등 수사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28일 특정경제범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