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찬반논란]① “우리는 이래서 GMO가 무섭다”

[GMO 찬반논란]① “우리는 이래서 GMO가 무섭다”

기사승인 2018-05-28 05:00:00

유전자변형작물(GMO)이 처음 시장에 선보인 이후 25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안전성에 대한 찬반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 GMO 원물을 사용한 가공식품에 대해서도 이를 표시하는 ‘GMO 완전표시제’를 공약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커지고 있다.

GMO 안전성의 대한 가장 큰 쟁점은 크게 인체위해성과 환경위해성으로 알려져있다. GMO 작물이나 이를 활용한 가공식품을 사람이 섭취했을 때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와 생육과정에서 주변 환경을 파괴할 수 있다는 우려다.  

처음 소비자들에게 알려진 GMO는 1994년 미국 칼젠사가 선보인 ‘포마토’다. 감자와 토마토의 합성작물이었던 포마토는 기존 원물과 맛 차이가 크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해 상품으로서의 가치는 없었다.

이후 연구개발이 이어지면서 현재 우리 식탁에는 추위와 병충해 등에 강한 콩이나 옥수수가 개발되고 이를 활용한 가공식품들이 오르고 있다.

현재 미국 등 GMO 주요 생산·수출국에서는 ‘실질적 동등성’이라는 안전성 평가를 거치고 있다. 실질적 동등성이란 GMO 작물 숙주와 신규 유전자 산물의 생화학적 구성성분이 자연작물과 차이가 없다면 동등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문제는 그간 발생했던 GMO 피해 의혹 사례에서 안정성에 대해 찬·반측 모두 ‘과학적 근거 부족’을 내세우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GMO 관련 피해사례는 1989년 발생한 ‘트립토판’ 사건이다. 일본 기업쇼와 덴코에서 유전자재조합 박테리아를 통해 생산한 트립토판을 섭취한 사람 중 1500명이 잠재적 위험에 노출되고 37명이 사망했다.

당시 식이보충제 원료인 트립토판이 LMO 미생물에서 유래됐다고 밝혀지면서 주요 사망 원인으로 지목됐다. LMO는 자연상태에서 인위적으로 변형된 생·번식이 가능한 생물체를 말한다.

해당 사건에 대한 원인조사에 나선 미국 FDA와 일본 후생노동성은 ‘해당 트립토판을 섭취한 사람들이 LMO 미생물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다고 보기에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결론 내렸다.

트립토판 LMO로 인한 피해를 주장하는 측 역시 ‘LMO 미생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무해론과 유해론을 주장하는 양 측 모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주장같은 맥락을 내세우며 대립하는 것이다. 역설적으로 이는 이는 GMO에 대한 현대과학의 연구와 안전성 근거가 부족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결국 이 사건은 제조사인 쇼와덴코가 회사에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피해자들과 합의가 이뤄져 명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채 종결됐다.

이후 2005년 유전자변형 옥수수를 먹인 쥐가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간과 신장에 유독 증상이 나타났던 미국 몬산토 사의 ‘Mon863 옥수수’ 사건 역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크게 다뤄지지 않았다.

국내에서도 소비자단체 등과 수입·제조업체 등 역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동일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3억명의 인구가 20년 가까운 기간 동안 GMO 식품을 소비했지만 피해가 발생한 경우는 한 건도 없다”면서 “근거 없는 막연한 두려움으로 관련사업을 옥죄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유전자변형작물’이라는 단어에 소비자들이 겁을 내지만 단순히 유전자 일부를 빼거나 더하는 수준”이라면서 “마치 방사능에 유출돼 괴이하게 변한 작물과 동일선상에 두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아이쿱생협 관계자는 “현재 과학기술로는 유전자변형 과정에서 어떤 효과가 발생할지 예측할 수 없는 만큼 피해사례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안전하다고 맹신하는 것은 위험하다”면서 “신체, 생명과 직결된 만큼 안전성에 대한 확인이 반드시 우선돼야한다”고 반박했다.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
조현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