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10채 중 4채는 2년 전과 비교해 전셋값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세입자가 2년 전세계약 만기 때 전세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하는 역전세난 발생 가능성이 커졌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9일 부동산 정보 서비스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전세보증금이 2년 전보다 하락한 아파트 비중은 38.6%로 나타났다. 서울은 13.2%, 수도권은 29.7%, 지방은 51.3%의 아파트가 2년 전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졌다.
2016년까지의 동일 통계에서 전세금이 하락한 아파트 비중은 전국 10% 미만, 수도권 5% 미만, 지방 역시 20% 미만이었다. 2년 전 전셋값과 현재 가격 간 차액은 2016년까지 증가 추세가 이어져 수도권은 평균 6000만원, 지방은 2000만원 이상이었다.
하지만 2017년부터 차액 폭이 줄면서 지방은 전세값이 하락 반전했다. 지난해 4분기 2년 전 대비 전세보증금 평균 차액은 전국 388만원, 수도권 1113만원, 지방 -825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직방 관계자는 “2016년부터 전세가격 급등 현상은 줄었고, 2017년부터는 본격적인 전세시장의 안정기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는 아파트 공급물량 증가와 기존 전세세입자가 분양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재계약에 나서지 않는 등 수요·공급의 불일치가 원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은 지역의 기간산업이 침체를 보이면서 기존 수요 이탈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장 주체들은 엇갈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2000년대 들어 꾸준한 전셋값 상승이 버거웠던 임차인들에게 전세시장 약보합세는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는 호재에 가깝다.
반면 임대인, 특히 갭투자에 나섰던 집주인들로선 수익 저하와 보증금 반환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집값 하락폭이 커질 경우 역전세난으로 인한 전세보증금 미반환 우려는 임대·임차인 모두에게 리스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역전세가 발생할 경우 전세금 마련을 위한 급매물이 늘어날 수 있어 매매가 약세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수요자들이 추가 하락을 염두에 두고 매입 시기를 미루고 있어 거래 위축이 단기간에 해소되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