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지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이 확산되면서 방역당국이 비상이 걸렸다. 현재 ASF는 백신은 물론 치료제도 개발되지 않아 국내에 유입될 경우 양돈산업의 존폐가 우려될 정도로 위험하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ASF 바이러스는 돼지에게만 발병하는 전염병이다. 한 번 감염되면 치사율이 100%에 가갑고 현재 치료법이나 백신이 개발돼있지 않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발생한 적이 없는 해외악성가축전염병으로 제1종 법정 전염병이다.
통상 아프리카·유럽 등지에서 발생하던 ASF 바이러스는 지난해 8월 중국에서 발병한 뒤 몽골과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 인접국가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부터 중국 112건, 몽골 11건, 베트남 211건, 캄보디아 335건으로 확인되고 있다.
발열과 충혈, 피부에 반점이 나는 등의 증상이 있으며 급성 ASF 바이러스의 경우 발병 후 9일 이내 치사율이 사실상 100%다. 매년 축산농가를 공포에 떨게 만드는 구제역의 치사율은 5%~55%로 절반 수준이다. 특히 ASF 바이러스는 냉동 상태에서도 1000일 이상 살아있을 정도로 생존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법과 백신이 없다는 것은 한 번 방역망이 무너질 경우 사실상 대책이 없다는 뜻이다. 일각에서 국내 양돈산업의 존폐를 걱정하는 이유기도 하다.
현재 정부는 축산농가 관계자들의 중국 등 발병국 여행을 자제하라고 권고하고 있지만 사실상 완벽한 대책은 아니다. 국내 여행객 뿐만 아니라 중국 등 발병국에서 국내에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통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8월 제주공항으로 입국하던 중국인 관광객이 소지하고 있던 돼지고기 소시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기도 했다.
이에 관계부처인 농식품부는 ASF 국내 유입차단을 위해 국경검역과 국내방역 체계를 대폭 강화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하루 전인 지난 9일 이개호 농림부 장관은 외교부와 법무부, 환경부 등 9개 정부부처와 함께 ASF 국내 유입 예방을 위해 국경검역과 방역체계를 대폭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6300여 양돈농가에 방역 전담 공무원이 배치되고 국경검역 탐지견도 중국 등 주변국 항공·선박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휴대 축산물 불법 반입에 대한 과태료도 5배 늘린다.
해외여행객에게는 만두·소시지 등 돼지고기 가공품 등 축산물을 국내에 들여오지 않도록 당부했다. 중국과 인적·물적 교류가 많은 만큼 국내 유입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중국·베트남·몽골 등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국을 여행할 경우엔 축산농가 방문을 자제할 것을 부탁했다.
국경 간 전파를 막기 위해 야생 멧돼지의 관리 강화도 당부했다. 농식품부는 비무장지대(DMZ) 내 멧돼지 예찰을 통해 남북 간 이동 가능성을 차단하고, 접경지역(강원·경기 북부)과 발병국 여행객이 많은 제주도에 서식하는 멧돼지 포획·검사를 확대해 올해는 지난해(1552회)보다 80% 증가한 2800회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국경검역의 경우, ASF 발병국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축산물이 반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발생국의 선박·항공기 운항노선에 검역탐지견을 집중 투입한다.
이 장관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모국의 축산물을 반입하지 못하도록 지도하고, 남은 음식물을 먹이는 농가는 가급적 일반 사료로 전환해야 한다”면서 “부득이 먹일 경우 반드시 열처리하고 축사 주변 멧돼지 차단 등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