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김현권 “돼지에게 잔반 사료 주면 ASF 발생 위험 커져”

김현권 “돼지에게 잔반 사료 주면 ASF 발생 위험 커져”

기사승인 2019-05-15 10:12:22 업데이트 2019-05-15 10:12:31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이 “돼지에게 잔반을 사료로 주게 되면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경고했다. 

음식물류폐기물을 돼지에게 주는 것은 ASF와 구제역 등의 주요 전파 원인이다. 중국의 ASF 발생 111건의 역학조사 결과 44%에 달하는 49건이 잔반 급여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인의 경우에는 1960년 ASF 발생을 계기로 유럽에선 처음으로 잔반 급여를 금지했다. 유럽은 광우병‧구제역‧돼지열병(CSF) 발생 등을 계기로 20여 년 전부터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잔반을 사료로 주는 돼지농가가 267곳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해당 농가들에 대한 담당관제를 통해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있지만, 잔반 급여 금지를 위한 법적 근거는 없는 실정이다.  

김 의원은 “잔반 급여가 ASF 전파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이를 허용하고 있다”며 “ASF의 국내 발생 위험도가 높은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관련해 김 의원은 가축전염병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돼지에게 잔반 급여를 금지하는 내용의 ‘가축전염병예방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그는 “잔반 급여 금지를 통해 ASF의 국내 유입을 원천 차단해야 한다”고 법안 발의 취지를 밝혔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

김양균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