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만명의 탈서울화 현상을 두고 정부와 업계의 해석이 다르다. 정부는 그간의 부동산 규제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 반면 업계는 이같은 현상은 단순 주거비 부담 때문이라며 서울 수요는 여전하다고 내다봤다. 또 서울 집값은 하락하지 않을 거라 예상했다.
17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동한 3040세대 순이동자수는 6만1429명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7년 4만6066명보다 33.34% 증가한 수치다. 6만명이 넘어선 것은 2002년(6만2050명) 이후 처음이다.
여기에 최근 정부의 3기 신도시 개발 계획까지 발표되면서 탈서울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각에선 경기지역 주택은 서울 주택가격 보다 저렴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서울지역 실수요자들이 이탈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계획에 따르면 신도시 2곳(고양창릉, 부천대장)에 5만8000가구, 서울 도심 국공유지 및 유휴 군부지 등에 5만2000가구 등 총 11만가구가 이르면 2020년(중소규모 택지)을 시작으로 2022년(신도시) 등에서 공급될 전망이다.
이를 두고 정부와 업계에서는 해석이 분분하다. 정부는 성공적이라는 반응이다. 국토교통부 박선호 1차관은 최근 한 방송에서 “9·13대책 이후 서울·수도권 집값 하향세가 지속되고 있고 이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본격적으로 8·2대책과 9·13대책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업계에서는 서울 수요는 여전할 것이며, 서울 집값은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들은 4050세대 등이 탈서울화를 하는 이유는 서울의 비싼 주거비 때문이지 서울에 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 회장(경인여대 교수)은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탈서울화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주거비 부담 때문”이라며 “정부가 공급하는 신도시들이 경기도권에 모여 있으니 그쪽으로 나가고 있을 뿐이지, 서울을 원치 않아서가 결코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 해당기간 집값 상승률은 최근 5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 상승률은 20.92%(3.3㎡당 2184만→2641만원)로 조사됐다.
그 이전 상승률은 ▲2013~2014년 2.58%(3.3㎡당 1629만→1671만원) ▲2014~2015년 6.22%(3.3㎡당 1671만→1775만원) ▲2015~2016년 9.01%(3.3㎡당 1775만→1935만원) ▲2016~2017년 12.87%(3.3㎡당 1935만→2184만원) 수준이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서울 집값이 하락세에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여기에 대출규제 등에 가해지면서 현금부자들을 제외히면 서울에서 내 집 마련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건설업계 또다른 관계자도 “탈서울화가 이뤄지고 있는 건 맞지만 서울에 사는 사람이 줄어든다고 해서 서울 집값이 떨어질 거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서울은 탈서울화 등으로 인해 수요도 없다고 볼 수 있지만 동시에 공급도 없는 상황”이라며 “재건축 규제, 인허가 문제 등 공급이 이뤄지지 않다보니 여전히 값은 높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