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수입의 증가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지동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은 지난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를 토대로 17만8812명의 수입·건강검진 이력·사인 등을 비교했다. 연구 대상자들은 건강검진 이력이 있고 허혈성 심장 질환·뇌졸중·심부전 및 암 병력이 없는 사람들로 했으며, 2002년 당시 소득을 기준으로 상위 30%, 중위 40%, 하위 30% 셋으로 소득층을 분류했다.
10년의 추적 기간에 대상자의 4.1%가 사망했다. 그중 0.9%가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했다. 상위 소득층 사망자 3.6% 중 0.7%가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했고 중·하위 소득층보다 사망률과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 하위 소득층은 총 사망률 5.5% 중 심혈관 사망률 1.2%였다.
상위 소득층은 수입 변동에도 사망률에 큰 차이가 없었다. 중위 소득층부터는 수입 변동에 따라 사망률 차이가 벌어졌다. 수입이 고정되거나 감소하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8%에서 9%로 수입 상승세 혹은 오르내림을 경험한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4배 이상 높았다.
하위 소득층 중 수입 변동이 없던 사람들이 사망률 13%로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이 결과는 수입이 감소하던 상위 소득층보다도 3배 이상 높은 값이었다. 반면 소득 분위를 불문하고 소득이 증가하거나 오르내림이 있던 사람들은 사망률이 2%에서 4%로 큰 차이가 없었다.
소득 분위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지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하위 소득층은 흡연·운동 부족·건강하지 못한 식습관과 같은 위험요인들의 영향과 함께 질병에 대한 적절한 예방 조치를 받지 못하는 등의 요인이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성지동 교수는 “소득 수준에 따라 확연하게 심혈관질환 사망률에 차이가 있다”면서 “소득 불평등이 실제 사회구성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다. 소득 양극화를 완화하는 복지 정책이 복지 자체로서의 의미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유럽예방심장학회지(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6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