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신용을 점수(1~1000점)로 표시하는 신용점수제도가 내년부터 도입된다. 정부는 이 제도로 저신용자 금융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대출 취급 과정에서의 혼선 등 부작용도 예상된다.
◆금융불균형 해소…리스크 관리 등 효과
신용점수제는 쉽게 말해 7등급 상위에 있는 자와 6등급 하위에 있는 자는 신용도가 비슷한데도 7등급인 자는 대출을 받지 못하는 ‘문턱효과’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시스템 완비 등 준비일정 등을 감안해 제도는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 제도로 차주 240만명이 연 1%p 수준의 금리절감 혜택을 볼 것으로 추측된다. 금융사 입장에서는 보다 유연한 여신심사가 가능해진다. 금리를 세분화해 연체율 관리에도 도움이 된다.
◆보증대출 취급 시 ‘혼선’ 우려
다만 보증기관을 낀 대출을 취급할 경우 얘기가 달라진다. 금융사는 신용평가사(CB)가 부여한 점수를 토대로 대출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보증서 발급기관은 신용평가에 등급을 주로 사용한다. 이 경우 평가기준이 서로 달라 대출 취급에 혼선이 생길 수 있다.
일각에서는 역효과를 우려하기도 한다. 점수 차가 근소한 차주 모두를 수용할지 안 할 지를 판단하는 건 결국 대출 실행기관이기 때문이다. 499점이 대출을 받지 못하면 501점 또한 대출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을 취급하는 쪽은 어차피 은행”이라며 “판단에 따라서 모두를 포용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1000점 만점 받으려면 “연체 없고 자산 많아야”
내년부터는 각 개인에게 신용을 나타내는 고유점수가 부여된다. 그 가운데는 1000점 만점을 받는 차주도 있을 전망이다. 1등급이 많듯이 신용 1000점이 결코 ‘꿈’의 점수는 아니라는 게 은행권 설명이다.
그렇다면 1000점 만점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신용관리를 잘해야 한다. 연체가 없고 자산이 많아야 한다. 소득도 필요하다.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은 없고 금융거래를 착실히 하는 고액자산가들이 1등급이 되는 것 같더라”고 덧붙였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