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4일 (수)
북한 “‘테러지원국’ 명시는 배신” vs 미국 “비핵화 약속 부응해야”

북한 “‘테러지원국’ 명시는 배신” vs 미국 “비핵화 약속 부응해야”

기사승인 2019-11-08 09:53:55 업데이트 2019-11-08 09:56:53

북한이 미국 국무부에서 자신들을 ‘테러지원국’으로 명시한 것에 대해 반발했다. 이에 미국은 비핵화 약속에 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는 7일(현지시간) 국무부가 운영하는 테러 정보 신고·포상 프로그램인 ‘정의에 대한 보상’ 관련 브리핑에서 “북한은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렉스 틸러슨 당시 미국 국무장관에 의해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됐다”면서 “우리는 관련 질문에 대해 이 시점에서 이 기록에 대해 추가로 더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 정부가 그 지도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 전면적이고 완전하며 검증 가능한 비핵화라는 약속들에 부응하기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 1일 ‘2018년 국가별 테러보고서’에 북한을 포함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북한이 국제 테러 행위에 대한 지원을 반복해왔다는 내용이 담겼다. 미국의 북미대화를 의식해 수위를 조절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지난해 보고서에 나온 ‘위협’ ‘악의적인 행동’ 등의 비판적 표현이나 테러 활동에 대한 상세한 지적은 명시되지 않았다. 

다만 북한은 북미대화를 진행 중인 상황에서 테러지원국 지정에 대해 불쾌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북한은 지난 5일 미국의 테러보고서에 대해 ‘허위와 날조’로 규정했다. 북한은 “조미(북미) 대화가 교착 상태에 놓인 지금과 같은 민감한 시기에 미국이 ‘테러지원국’ 감투를 계속 씌워보려고 집요하게 책동하고 있는 것이야말로 대화상대방인 우리에 대한 모독이고 배신”이라며 “미국의 이러한 태도와 입장으로 하여 조미대화의 창구는 점점 더 좁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희귀난치성 환자, 의약품 ‘면세’ 길 열리나…“생존권 보장해야”

#은 기존 의 줄임말로 법안에 대해 쉽게 풀어낸 새로운 코너입니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는 22대 국회의원들의 법안들을 편하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 세금이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가의약품은 희소성으로 가격이 높아 관련 세금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현행법은 희귀난치성 환자의 자가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세금을 같은 수준으로 책정하고 있다.13일 정치권에 따르면 희귀난치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