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을 맞아 저녁 모임이 평소보다 많아진다. 과도한 음주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건 알지만 여전히 ‘술’은 빠지지 않는다. 건강도 챙기며 현명하게 음주하는 법을 알아보자.
음주는 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대표적으로 간 질환의 14%를 차지하는 알코올 간 질환은 술의 종류와 관계없이 총 알코올 소비량에 따라 발생 위험도가 커진다. 음주는 한국인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의 원인으로서도 각각 2, 3위에 해당한다. 한해 알코올 관련 사망자수도 10만명 당 9.6명에 달한다.
여성은 남성과 같은 양의 음주를 하더라도 간 질환에 더 취약하다. 위장에 알코올 탈수효소가 적기 때문에 알코올의 생체 이용도, 간 손상의 위험도가 자연스레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 높은 체지방 비울, 에스트로겐으로 인한 산화스트레스 등도 이유로 꼽힌다.
김기애 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과음자의 85% 이상에서 쉽게 관찰되는 지방간을 비롯해 황달 증상과 함께 간이 딱딱해지거나 크기가 위축되는 간경변증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며 “빈속에 술을 마시거나 여러 종류를 섞어 섭취하는 등의 잘못된 음주습관은 간질환의 위험도를 더욱 높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술을 마신 다음 날이면 숙취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숙취는 술을 마시는 사람의 체질도 중요하지만, 어떤 종류의 술을 얼마나 빨리 마셨는가가 중요하다. 술에는 여러 가지 화학첨가물이 포함된다. 이것이 숙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술을 섞어 마시면 첨가물들이 서로 화학적으로 상호반응해 숙취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김선영 경희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음주 후에는 이뇨작용으로 탈수가 유발되며 음주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혈중의 당 농도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어 공복 시 음주는 최대한 피해야 하며, 음주 간에는 충분한 수분과 음식물을 함께 섭취해야 한다”며 “술 깨는 음료에 대한 과잉기대보다는 알코올 섭취량을 줄여 숙취 증상 개선에 신경 쓰기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번 술을 마신 후에는 최소한 며칠은 금주하도록 해야 간이 충분히 회복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