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이 센터장의 자리에서 물러나 평교수로 돌아가겠다고 밝힌 가운데, 보건복지부는 병원과 이 센터장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과 병원 사이의 갈등은 지난해 10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드러났다. 이 센터장은 당시 “당장 닥터헬기는 고사하고 외상센터가 문을 닫아야 할 이유를 대보라고 하면 30여 가지를 쏟아낼 수 있다”며 “그걸 간신히 정책적 관심에 의지해서 뚫고 가는 것이기 때문에 난항이 예상하는데 많이 도와주시면 좋겠다”고 밝혔다. 최근 공개된 녹취록에서는 이 센터장을 향한 유희석 아주대의료원장의 욕설이 담겨 권역외상센터 운영에 어려움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센터장과 병원 사이의 갈등은 지난해 10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드러났다. 이 센터장은 당시 “당장 닥터헬기는 고사하고 외상센터가 문을 닫아야 할 이유를 대보라고 하면 30여 가지를 쏟아낼 수 있다”며 “그걸 간신히 정책적 관심에 의지해서 뚫고 가는 것이기 때문에 난항이 예상하는데 많이 도와주시면 좋겠다”고 밝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에 대해 “감정의 골이 너무 깊어 상대를 돌봐주지 않아 발생한 일”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양쪽이 다 열심히 했는데 양쪽이 다 지쳐 있는 상황으로, 법이나 제도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 센터장이 병원의 문제점에 대해서 지적했지만, 법과 제도에 어긋나게 행동한 적은 없었다”고 전했다.
복지부는 우선 외상센터 제도가 정착될 때까지는 이 센터장이 외상현장을 지켰으면 한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응급의료과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사임 의사를 표현했다고 밝혔지만, 이 센터장과 병원한테서 아직 들은 소식이 없다. 진위를 확인할 수 없다”면서 “아무리 국가가 병원을 센터로 지정하고 지원하지만, 민간병원의 인건비 등 운영 전반에 대해 개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권역외상센터 관련 연구를 진행한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 교실 교수는 “정부가 지원하는 것인데 왜 개입을 못 하느냐”면서 “재정 지원을 했으니 알아서 하라고 하는 식이 아니라 어떻게 인력을 고용하고 쓰는지에 대해 필요한 부분이라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외상센터의 운영 책임은 외상센터장에게 있는 게 아니라 외상센터를 지정받은 병원장에게 있다”며 “병원장이 외상센터를 적절히 운영하지 않는 것은 외상센터 운영 지침을 어기는 것. 복지부가 문제의 본질이나 현실적인 현장의 문제를 고민하지 않고 책임만 면피하고자 한다. 관료적이고 자기방어적 태도만 고수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역별 중증외상환자의 수요에 맡게 지역별로 규모를 조정하는 작업을 해야 할 것이라고 봤다. 그는 “경기남부, 경기북부, 부산의 권역외상센터는 환자 수에 맡게 규모를 늘리고, 충청도, 강원도 등은 중증외상환자 이송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지역별로 맞춤형 전략을 세우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