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국가지정병상 다 차면 그 이후는

신종 코로나, 국가지정병상 다 차면 그 이후는

유인상 병협 보험위원장 “메르스 때 처럼 공공병원 활용해야”

기사승인 2020-02-01 01:00:00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점차 늘면서 국가지정 음압격리 병상이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은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감염병 환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질병관리본부가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확충했다. 이 병상들은 호흡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병실 내부의 압력을 외부보다 낮게 유지해 공기가 항상 병실 안에서만 흐르도록 유도해 병실 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음압 병상들이다. 

질병관리본부의 ‘감염병 관리시설 평가지침’에 따르면 국립중앙의료원, 서울대병원, 서울의료원 등 29개 병원에서 약 190개의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8일 대한병원협회의 ‘신종코로나 비상대응본부’ 발대식에서 실무단장을 맡은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은 “29일이면 국가지정 감염병 의료기관으로 선정된 병원 내 음압 병동에 남는 병상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확진자와 의심환자가 늘면서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이 부족할 것이라는 예측을 한 것이다.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을 제외하고도 대다수 병원에서는 음압 병상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 음압 병상이 신종코로나 확진자나 의심환자에게 쓰일 가능성은 현재까지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병원 관계자들은 아직 정부로부터 어떠한 요청도 받지 못했다. A병원 관계자는 “설비는 되어 있는 상황”이라며 “비상 인력이 없다 보니 바로 확진자나 의심환자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B병원 관계자는 “현재 음압 병상을 국가지정 병상 기준까지 구축하는데 시간이 상당히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며 “요청 들어온다 하더라도 바로 진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유인상 대한병원협회 보험위원장은 “메르스 사태 당시처럼 공공의료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공의료기관인 경기도립의료원 수원병원 등이 메르스 환자 전용병원으로 운영돼 메르스 확산 방지를 막은 전례가 있어 이번에도 병상이 부족하면 공공의료기관을 활용하면 된다는 주장이다.

유 위원장은 “공공의료원 중 핵심이 되는 몇 군데를 신종코로나 전문병원으로 하는 게 가장 안전할 것”이라며 “의료진이 대비하기도 쉽다. 또 신종코로나는 비말 감염이라 격리와 활동 제한만으로도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민간병원 음압 병상에 증상이 없는 의심환자까지 넣게 된다면 전체 감염환자를 오히려 높일 수 있으므로 공공병원으로 모는 게 좋을 것”이라며 “무증상자의 전파력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지켜봐야 한다. 아직 추측이 많아 모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com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