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에 따라 개원가 손실이 커지고 있다.
3일 기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진환자는 15명이다. 바이러스가 맹위를 떨치고 있는 중국에서만 사망자가 361명이 발생하고 누적 환자도 1만7205명에 달하고 있다. 이렇듯 감염증의 여파가 계속되면서 개원가도 비상 상황임을 토로하고 있다. 의심환자나 확진자가 의료기관을 거칠 경우, 강제휴업 조치를 당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손실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달 27일 우한시에서 귀국한 4번 환자가 평택 소재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 해당 의료기관이 폐쇄됐다. 실내 소독 절차를 끝내고 28일부터 진료중지를 공식 해제했지만, 의료진 대다수가 밀접접촉자로 분류돼 진료 재개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의료기관에 환자가 경유했다는 소문이나 잘못된 정보로 병원이 도산 위기에 빠질 수도 있는 것 아니냐는 일종의 불안감과 공포도 야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장은 “신종코로나 전염성이 강하다 보니 개원가에서 느끼는 공포감이 크다”며 “발열 증상이 있을 때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나 보건소로 안내하도록 하고 있지만, 발열이 없는 상태에서도 감염이 된다고 하니 문제가 크다. 의사는 환자와 소통하다 보니 마스크를 계속 쓰고 있을 수 없다. 수시로 손을 씻는 등 예방수칙은 지키고 있지만. 감염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문을 닫았을 때 정부의 보상이 충분하지 않다”며 “문을 닫게 되면 환자가 재진 등을 못하게 되다 보니 다른 병원을 찾는다. 이러면 환자를 모두 잃게 돼 문을 잠깐 닫더라도 새로 의원을 여는 것과 마찬가지다. 또 감염병이 있던 의료기관으로 소문나게 돼 운영도 힘들다. 병원 외 다른 업종도 손해가 있다 보니 강력하게 주장할 수 없지만, 정상 진료를 못 한 것에 대해서 국가가 책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국가와 정부가 현실적인 보상을 해주길 바란다”면서 “의료진이 환자와 접촉이 많다 보니 감염될 가능성이 크다. 환자도 웬만큼 아프지 않으면 병원에 오지 않으려 한다. 질병이 악화한 후 오는 일도 있어 걱정이 크다”고 덧붙였다.
박종혁 대한의사협회 대변인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사태 때도 의료인들이 적극적으로 일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지지 않았었다”면서 “그럼에도 일선 현장에서 의료진은 감염병 사태를 직업적 책무로 당연하게 받아들여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치료 및 방역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행정적 조치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의료기관 폐쇄 등에 대한 보상도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고로 지난 2015년에 일어난 메르스 사태에서 대한병원협회는 의료기관의 메르스 직접 손실액을 최대 6767억원으로 추산하고 의원급의 추계가 불가해 별도의 증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에 대해 메르스 피해 의료기관의 손실보상금으로 1781억원을 확정했다.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은 “신종코로나의 지역사회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의료인, 의료기관의 협조가 매우 절실하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일선 의료인들이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만큼 지원과 피해보상에 대한 의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