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6일 (화)
구글, 클라우드 게임 서버 서비스 베타버전 출시

구글, 클라우드 게임 서버 서비스 베타버전 출시

기사승인 2020-03-25 14:28:03 업데이트 2020-03-25 14:30:30

[쿠키뉴스] 구현화 기자 = 구글 클라우드가 게임 서버 관리 서비스인 ‘구글 클라우드 게임 서버 서비스(Google Cloud Game Servers, 이하 게임 서버 서비스)’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게임 서버 서비스는 구글 클라우드와 유비소프트(Ubisoft)가 공동 개발한 쿠버네티스 기반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아고네스(Agones)의 완전 관리형 서비스다.

아고네스는 독점 솔루션을 대체하는 커뮤니티 기반 개발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 게임 개발자가 멀티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로컬 머신 등 어떤 환경에서든 게임 서버 클러스터를 원활하게 호스팅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프로덕션 워크로드에서 이미 아고네스를 구동하고 있는 개발자는 게임 서버 서비스 API로 아고네스 관리형 게임 서버 클러스터를 등록만 해도 관리형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수동 관리를 원한다면언제든 관리형 서비스 선택을 해제할 수 있다.

개발자는 게임 서버 서비스를 이용해 게임 서버 클러스터를 ‘렐름(Realm)’이라는 개념으로 묶을 수 있다. 렐름이란 게임 지연시간(latency)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논리적 그룹이다. 게임 서버 클러스터를 렐름으로 분류한 후에는 게임 서버 설정과 확장 정책을 정해 렐름과 그 안의 클러스터에 걸친 관리를 간소화면서 제어와 가시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게임 서버 서비스는 개발자가 게임 서버 관리를 통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계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계획된 게임 이벤트나 특정 날짜와 시간대에 맞춰 게임 서버의 예비 용량을 늘릴 수 있으며, 여러 지역에 걸쳐 하루 중 피크 시간을 고려해 확장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 게임 서버 서비스는 롤아웃(rollout)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다양한 게임 서버 구성과 초기 개발 버전 변화에 대한 A/B 테스트를 시행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이전 버전으로 복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번 베타 버전에서는 구글 쿠버네티스 엔진(Google Kubernetes Engine, GKE)에서 구동되는 클러스터만 지원되며 2020년 말까지 지원 범위가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로 확대될 예정이다. 구글 클라우드는 2020년 하반기에 고급 확장 정책 제공과 함께 오픈소스 매치메이킹 프레임워크인 오픈 매치(Open Match)와의 긴밀한 통합을 선보일 예정이다.

스콧 반 우든버그(Scott Van Woudenberg) 구글 클라우드 프로덕트 매니저는 “구글 클라우드는 전 세계 게임사가 인프라 관리에 대한 걱정 없이 게임 유저들에게 원활한 멀티플레이어 게임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kuh@kukinews.com

구현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선에 ‘페이커’ 끌어들이기?…김문수, 사진 무단 도용 논란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2030 세대와 e스포츠 상징인 ‘페이커’ 이상혁의 사진을 무단 사용했다. 이상혁의 소속 구단인 T1은 즉각 대응에 나섰다.김 후보는 지난 5일 자신의 공식 X(구 트위터)에 이상혁의 시그니처 세리머니인 ‘쉿’ 포즈를 따라 한 프로필 사진을 게시했다. 해당 게시물에는 이상혁이 같은 포즈를 취한 사진도 함께 올라와 동일한 구도를 연출했다.‘쉿’ 세리머니는 한국조폐공사의 ‘페이커 기념메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