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전 세계에서 사망자와 환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제2의 코로나19 등 감염병에 대처코자 요구되는 사항은 무엇일까?
지난해 말 중국 우한지역을 기점으로 시작된 코로나19는 국내에선 1만 명, 전 세계적으로는 100만 명이 넘는 확진자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방역 대책에 대해 다른 나라에서 보고 따라할 만큼 선진적인 조치를 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의 신종감염병 대처를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신형식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은 ‘의료진 부족’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신 센터장은 “질병관리본부와 보건소의 인력이 2개월 넘게 강행군을 하고 있다”며 “의료진과 진료시스템을 제대로 갖췄어야 한다. 지금도 각 감염병 전문의료기관에서는 2~3명의 감염내과 의료진이 매일 당직을 하면서 치료에 전념한다. 평상시 충분히 인력을 채용해두면 전 세계에서 최고 수준으로 감염관리를 잘하는 병원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감염병 발생 정보를 수시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한다”며 “유행의 양상과 국내 유입 가능성, 진단과 치료전략 등을 세우면서 보완해나갈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과거 전 세계적으로 발생했던 감염병에 대한 역사적 고찰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이외에 또 다른 대규모 국가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대통령 직속 국가위기관리위원회를 신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재은 충북대 국가위기관리연구소장은 “국가위기관리는 대통령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다른 나라들은 오래전부터 중앙정부·지방정부·공공기관에까지 위기관리실과 같은 조직을 두고 평소에도 재난, 테러리즘, 감염병 등에 대한 위기를 예방·대비하는 업무를 해왔다”고 말했다.
평소에 다른 업무들과 함께 위기를 다루다가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태가 더 악화되면 범정부대책본부로 임시로 해결해왔던 지금까지의 사례로는 위기관리 학습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반복할 뿐이라는 것이다. 국가위기관리위원회에서 각 부처·공공기관·전문가 등이 참여해 국내외 위기 정보를 수집하고 위기 대비 상황을 점검해 사전에 대응책 및 복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이 소장은 촉구했다.
신종감염병에 대비해 백신 개발의 국제적 공조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기존 백신 개발은 보통 약 10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송만기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차장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다보스포럼에서 출범한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에서 백신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CEPI는 신변종 고위험 바이러스에 대해 백신을 미리 개발해 대비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다.
송 사무차장은 “우리나라 기업과 연구소들이 CEPI의 지원을 받아 국제적 백신 개발에 동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부 차원의 CEPI 이사국 참여도 향후 지속적으로 발생할 신변종 바이러스 대응에 도움될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시스템의 개혁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도 있다. 박종희 보건복지위원회 수석전문위원은 ▲수요량 대비 부족한 마스크 ▲검역과정서 무증상자 입국▲병상 부족 ▲백신·치료제 미비 ▲감염병 전문병원 구축 사업 지연 등의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감염병 발생 시 사후적·단편적인 대처만 이뤄지고 신속하고 사전적인 대응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제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개혁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