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조현우 기자 =배달의민족 수수료 개편에 따른 소상공인 부담 가중 문제가 제기되면서 ‘공공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플랫폼 사업의 경우 유지·보수에 대한 시간과 인력, 자금 소요가 더 큰 만큼 이상만을 좇다가는 세금 낭비에 그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은 지난 1일부터 자사 앱 화면 상단에 3개만 노출해온 오픈서비스를 확대했다.
오픈서비스는 배달의민족 주문으로 발생한 매출의 5.8%가 이용료로 책정된다. 기존 정액제로 운영됐던 울트라콜 서비스는 ‘깃발꽂기’ 논란으로 인해 하단으로 밀려났다.
배달의민족 측은 오픈서비스에 대해 “‘새 요금 체계 시행 전 자체 시행한 시뮬레이션에서는 가입 외식업주 중 52.8%가 배달의민족에 내는 광고비를 아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소상공인들은 수수료 부담 증가를 주장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소상공인들은 독점앱에 종속돼 이제는 불만도 제기할 수 없는 처지에 내몰릴 것이고 소비자 가격 인상도 뒤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논란이 커지자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자신의 SNS에 배달의민족 오픈서비르를 ‘독과점의 횡포’라고 주장하며 공공앱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지자체가 만든 공공앱의 성공 사례로 꼽히는 것은 전북 군산시가 출시한 ‘배달의 명수’다. 지난달 출시 이후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7000여건에 달하는 배달 건수를 기록했다. 가입자 역시 약 2만3500명에 달한다. 시 지원으로 배달음식 구매 비용이 최대 10% 할인되며, 자영업자 역시 기존 배달앱 대비 월 평균 25만원의 광고료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지자체 공공앱의 지속성에 대해 의문을 품고 있다. 자체적인 수익모델로 할인 등을 감당할 수 없어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이는 곧 수명 단축으로 이어진다 주장이다. 여기에 할인 쿠폰 등 다양한 혜택으로 무장한 배달의민족 등 기존 앱에게서 소비자를 온전히 빼앗기는 힘들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당장은 큰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문제는 2~3년 뒤에도 이어질 수 있는가 하는 점”이라면서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앱이 시장 1위 업체와 언제까지 경쟁할 수 있는가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등 수도권에서 상대적으로 혜택이 부족한 공공앱이 효과를 거둘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도 있다. 이미 2016년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가 수수료 부담 등을 이유로 자체 앱인 ‘프랜고’를 개발했지만 사실상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던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당시 협회는 추가 입점비를 없애고 배달라이더협회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배달서비스가 없던 프랜차이즈매장에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1100여개에 달하는 가맹본사가 협회사로 있다는 것도 강점이었다. 그러나 프랜고는 전체 회원사 중 10% 남짓한 100여개 본사만이 가입하며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소비자들이 선택하지 않는다’는 이유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이용자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기존 플랫폼보다 압도적인 혜택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쉽지 않다”면서 “수많은 데이터와 리뷰 등을 가지고 있는 기존 플랫폼을 뛰어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akg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