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4일 (월)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 6년 만에 최저…매매가격 급등 영향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 6년 만에 최저…매매가격 급등 영향

기사승인 2020-05-05 09:36:28 업데이트 2020-05-05 09:37:12

[쿠키뉴스] 신민경 기자 =수도권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6년 만에 최저수준을 나타냈다.

4일 KB국민은행은 ‘리브온 월간주택가격 동향’을 발표하면서 지난달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아파트 전세가율은 65.1%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4년 3월(64.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은 2018년 10월 70%선이 깨졌다. 지난해 1월부터 1년 4개월 하락세를 그렸다.

같은 기간 서울·경기·인천의 전셋값 오름폭보다 매맷값 상승 폭이 더 높았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지역별 아파트 전세가율은 서울 54.7%, 인천 73.1%, 경기 65.1%로 조사됐다. 

서울의 전세가율은 2018년 11월 60% 밑으로 떨어진 이래 지난해 1월부터 1년 4개월째 하락세다.

인천의 전세가율은 지난해 75%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들어 1월 75.0%, 2월 74.7%, 3월 73.6%, 4월 73.1%로 4개월 연속 떨어졌다.

비규제 지역으로 투자 수요가 몰린 인천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의 지난달 전세가율은 전달 대비 낙폭이 1.9∼2.7%포인트로 컸다.

경기의 전세가율은 지난해 11월 72.0%에서 5개월 연속 떨어졌다. 특히 지난 3월 전세가율이 69.8%를 기록하면서 5년 1개월 만에 70%의 벽이 무너졌다.

규제 풍선 효과로 아파트값 상승이 가팔랐던 수원, 성남 수정구, 안양 만안구, 부천, 용인 기흥·수지구, 의왕, 화성의 전세가율이 올해 들어 70% 밑으로 떨어지면서 하락세가 계속됐다.

아울러 한국감정원 통계로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지난달 65.9%로, 2014년 2월(65.8%) 이래 6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감정원 통계로 경기의 전세가율은 지난 3월 69.8%로 5년여 만에 70% 선이 무너졌다. 4월에도 69.3%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다만, 감정원 통계로 서울의 전세가율은 지난 1월(57.2%)까지 하락세를 지속하다가 3개월 연속 상승해 지난달 57.4%에 달했다.

일각에서는 정부 규제와 코로나19로 서울·수도권의 아파트 매매량이 감소하면서 매매 약세, 전세 강세의 장이 펼쳐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매맷값 상승 폭이 큰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가율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전세 수요 증가와 저금리 상황을 고려할 때 앞으로 전세가율 하락이 둔화하거나 상승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smk5031@kukinews.com

신민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붕괴 나흘째 ‘광명 신안산선’…주민 대피명령에 학교는 휴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인 14일 현장 실종자 수색을 위해 소방당국이 밤샘 작업을 벌였다.이날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전날 오후 2시 10분 수색 재개를 위해 상부 안전펜스 및 낙하물 제거 등 조치에 돌입했다. 이어 오후 10시쯤 굴삭기 3대를 배치, 구조작업 위치 경사면을 확보했다. 40여분 뒤에는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덮개 작업을 마무리했다. 밤샘 작업에 이은 수색은 이날 오전까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 포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