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정부가 오늘(6일)부터 강원도 양구 등 7개 지역을 시작으로 오는 11월말까지 전국 36개 지역에서 ‘6‧25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을 실시한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달 20일부터 민간 접촉 차단이 용이한 비무장지대 특성을 고려 화살머리고지 유해발굴을 우선 시작한 바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당초 올해 3월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발굴사업을 전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유해발굴사업이 지연됐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그동안 유해발굴, 유가족 탐문 등 대외 사업은 지양하고, 발굴지역 집중분석, 신원확인 향상을 위한 자료 검증, 가능성 높은 유전자 데이터 재분석 등을 시행했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사업 수행이 제한되는 가운데에서도 기간 중 네 분의 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방부는 올해는 6‧25전쟁 70주년으로 국민과 함께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이 한 차원 더 내실 있게 추진될 예정이라고 밝혓다.
올해 국방부는 국가보훈처 등 10여 개 관련 부처와 유해발굴사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협업을 추진한다. 국방부는 이는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 모시는 것이 국가의 마땅한 책무”라는 대통령의 강한 의지와 6‧25전쟁 발발 70주년이라는 역사적 의미가 어우러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올해 각 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1만2500개의 유가족 유전자 시료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오는 10월까지 신원확인센터를 준공하고, 발굴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한 여건을 구비해 전사자 유해의 신원확인율 향상을 추진한다.
국방부에 따르면 현재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총 5만여 개의 유가족 유전자 시료를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6‧25전쟁간 미수습되신 135000여 전사자와 실종자를 고려하면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국방부는 각 부처의 기능과 연계하여 발굴 유해의 신원확인에 필수적인 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를 독려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또 국방부는 올해 유해발굴의 비전을 ‘국가를 희생하신 분들을 찾아 가족의 품으로 모시는 국가무한책임 완수’로 정했다. 오는 2022년까지 유가족 유전자 시료확보 목표를 11만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4대 전략‧10대 추진과제’도 선정했다.
이 추진과제에는 ‘연 500구 이상 유해발굴’, ‘군단급 발굴팀 및 발굴부대 예산‧물자‧지침서 조기 하달’ 등 여건보장 등이 담겼다. 또 장기적으로 ‘스마트 국방혁신’의 일환으로 ‘자율이동형 지하탐지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지난해 말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 관련 대국민 인식도 조사결과 사업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 지속 추진에 대해서는 90% 이상으로 높았다. 반면 유전자 시료채취나 포상금 제도 등에 세부내용에 대한 인지도는 30% 이하로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올해 세부 사업내용을 국민들께 인지시키고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6‧25전쟁 70주년 사업은 물론 각 군별 가용 온‧오프라인, 정부부처 가용매체 활용 등 다양한 협업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국방부는 전사자 유해 신원확인 포상금 관련 법령을 개정해 유가족 참여를 확대시켜 나갈 예정이다.
songbk@kukinews.com